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치국여선[治國如鮮] ~ 치도[馳道] ~ 치득부서혁원추[鴟得腐鼠嚇鵷鶵]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18  

치국여선[治國如鮮] 노자(老子) 거위(居位)큰 나라를 다스릴 때는 마치 작은 생선을 삶듯이 조심스럽게 해야 한다.[治大國 若烹小鮮]”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치군[致君] 옆에서 보좌하여 성스럽고 밝은 임금이 되게 하는 것을 말한다.

치당[致堂] 고려 때 문신 김회조(金懷祖)의 호. 벼슬은 판도 판서(判圖判書)에 이르렀는데, 조부는 중찬(中贊)을 지낸 쾌헌(快軒) 김태현(金台鉉)이며, 아버지는 판밀직사사(判密直司事)를 지낸 둔재(鈍齋) 김광철(金光轍)로서 가문이 매우 훌륭하였다.

치당[致堂] () 나라 호인(胡寅)의 호이다.

치대전[雉帶箭] 한퇴지가 사냥을 구경하면서 지은 시의 제목이다.

치도[馳道] 진나라가 건설한 황제전용 도로이다. 진시황 27년 기원전 220년 공사를 시작했다. 함양을 중심으로 2개의 간산도로가 있었다. 하나는 동쪽의 연()과 제()로 통했고, 다른 하나는 남쪽의 오()와 초()로 통했다. 도로의 넓이는 50(70미터)3(6.5미터 마다 가로수를 심고 그 밖에는 축대를 두껍게 쌓아 철추를 가지고 암살하려고 하는 자객을 피하려고 했다. 나무는 모두 청송으로 했다.

치도[馳道] 천자(天子)가 다니는 길을 말한다.

치동우[徵動羽] 오성(五聲) 중에 치는 화()로서 맹하(孟夏), ()는 수()로서 맹동(孟冬)에 속한다. 즉 이것은 화()가 수()를 충동한다는 뜻이다.

치득부서혁원추[鴟得腐鼠嚇鵷鶵] 썩은 쥐 얻은 올빼미가 원추새를 보고 겁먹었다는 이야기로 장자(莊子) 추수(秋水)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번호 제     목 조회
677 무정하[無定河] ~ 무지기[巫支祈] ~ 무지기루대[無地起樓臺] 2513
676 복거지계[覆車之戒] ~ 복곡[伏鵠] ~ 복금와리[宓琴臥理] 2512
675 의난개혁업[猗蘭開奕業] ~ 의남초[宜男草] ~ 의당집봉[議堂集鳳] 2512
674 원효니[袁孝尼] ~ 월견폐괴[越犬吠怪] ~ 월관[越冠] 2511
673 화봉삼축[華封三祝]~화불단행[禍不單行]~화사첨족[畵蛇添足] 2511
672 천경[天傾] ~ 천계[天雞] ~ 천고청불난[天高聽不難] 2510
671 보력[寶曆] ~ 보로[寶璐] ~ 보류일단[報劉日短] 2505
670 이의분청탁[二儀分淸濁] ~ 이이[李珥] ~ 이이제이[以夷制夷] 2504
669 야합[野合] ~ 야행론[夜行論] ~ 야호[野狐] 2502
668 울단[鬱單] ~ 울륜포[鬱輪袍] ~ 울림석[鬱林石] 2498
667 취전[聚羶] ~ 취처생자[娶妻生子] ~ 취탈화[醉脫靴] ~ 취포[吹布] 2498
666 익겸[益謙] ~ 익로[鷁路] ~ 익수[鷁首] 2497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