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투아[偸兒]~투용장[投龍杖]~투유객할[投留客轄]~투의성[鬪蟻聲]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53  

투아[偸兒] 한무고사(漢武故事)동도(東都)에서 온 단인(短人)이 동방삭(東方朔)을 가리켜 말하기를 서왕모(西王母)가 심어 놓은 복숭아는 3천 년만에 한 번씩 열매가 여는데, 이 아이 불량하여 벌써 세 차례나 훔쳐먹었다.’고 했다.”라고 하였다.

투암[投暗] 재능을 알아주기는커녕 오히려 질시와 비난을 받는 것을 말한다. 명주암투(明珠暗投).

투암암견기[投暗暗見忌] 재질을 완전히 발휘하지 못하게 하는 한심한 세태를 풍자한 말이다. () 나라 추양(鄒陽)이 모함을 받고 투옥된 뒤 옥중에서 상소한 글 가운데깜깜한 길을 비춰 주려고 명월주와 야광벽을 던져 주면, 모두가 칼을 뽑으려 하면서 노려본다.[明月之珠 夜光之璧 以闇投人於道路 人無不按劍相眄者]”라는 대목이 나온다. <史記 卷83 鄒陽列傳>

투용장[投龍杖] 비장방이 노옹(老翁)을 하직하고 돌아올 때에 노옹은 대막대 하나를 주며 이것을 타면 절로 집으로 가게 될 터이니, 도착한 뒤에 칡덩굴 언덕[葛陂]에 던져라.”라고 하였다. 비장방은 과연 그대로 던지고, 돌아본즉 용이었다.

투유객할[投留客轄] 손님을 만류하는 것을 말한다. 한 나라 진준(陳遵)이 술을 즐겨 많이 마시고 손님이 당에 가득할 때에 문을 잠그고 손님의 수레바퀴 비녀장을 우물에 갖다 넣어 아무리 급한 일이 있어도 가지 못하게 하였다 한다.

투의성[鬪蟻聲] 개미 싸우는 소리란 병들어 신음하는 소리를 가리키는데, 이것은 옛날 진() 나라 은사(殷師)가 있어 개미 싸우는 소리가 소 싸우는 소리처럼 크게 들렸다는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069 파강[播降]~파강미[播糠眯]~파개[爬疥]~파경상천[破鏡上天] 1845
5068 호청경[虎聽經]~호축계[好祝雞]~호치단순[皓齒丹脣]~호탁씨[壺涿氏] 1845
5067 퇴어급류[退於急流]~퇴옥산[頹玉山]~퇴우[退憂]~퇴일과[退日戈] 1853
5066 투아[偸兒]~투용장[投龍杖]~투유객할[投留客轄]~투의성[鬪蟻聲] 1854
5065 천파[天葩] ~ 천편일률[千篇一律] ~ 천하구가윤속계[天下謳歌允屬啓] 1856
5064 토반진갱[土飯塵羹]~토봉[吐鳳]~토사구팽[兎死狗烹]~토사호비[兎死狐悲]~토세[免勢] 1856
5063 칠애시[七哀詩] ~ 칠언삼첩[七言三疊] ~ 칠엽초선[七葉貂蟬] 1857
5062 투란[鬪卵]~투료[投醪]~투문구악[投文驅鰐]~투벽[投僻]~투비시호[投畀豺虎] 1857
5061 칠착[七鑿] ~ 칠향거[七香車] ~ 칠현[七賢] ~ 칠협[七莢] ~ 칠흥[七興] 1858
5060 쾌독파거[快犢破車]~ 쾌등오[噲等伍] ~ 쾌종위오[噲終爲伍]~ 쾌활음[快活吟] 1858
5059 천장지구[天長地久] ~ 천장회파두표작[天漿會把斗杓酌] ~ 천전운막[天田雲幕] 1860
5058 토낭[土囊]~토만두[土饅頭]~토모삼굴[兎謀三窟]~토목형해[土木形骸] 186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