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한자애련[韓子愛聯]~한장유[韓長孺]~한적[漢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63  

    

한자[韓子] 전국 시대 한비자(韓非子). 또는 그가 지은 책 한비자(韓非子)를 말하기도 한다.

한자개진간힐자[韓子豈眞奸黠者] 한유(韓愈)관직도 없는 우리 동야, 너무도 쇠한 백발의 몸. 조금 교활한 나 한자, 장송에 붙은 덩굴인양 스스로 부끄러워.[東野不得官 白首誇龍鍾 韓子稍姦黠 自慙靑蒿倚長松]”라는 시구를 인용한 것이다. <韓昌藜集 卷5 醉留東野>

한자애련[韓子愛聯] 한자는 당 나라의 한유(韓愈)이며, 그가 석정연구시(石鼎聯句詩)를 짓고 서문(序文)을 붙인 것을 말한다. <韓昌黎集 補遺>

한자파리완[韓子玻瓈盌] 한유(韓愈)의 시에 두세 명 도사가 그 사이에 자리잡고, 파리 옥배(玉盃)에 영액을 자꾸 따라 마시누나.[二三道士席其間 靈液屢進玻瓈盌]”라고 하였다. <韓昌黎集 卷4 遊靑龍寺 贈崔大補闕>

한장유[韓長孺] 지금의 하남성 민권현(民權顯)인 성안(成安) 사람으로 이름은 안국(安國)이다. 한나라 초기에는 양효왕 밑에서 중대부를 지냈으나 오초칠국의 란 때 오나라의 군사를 격퇴한 공로를 세워 그 이름을 떨치게 되었다. 무제 때 어사대부(御史大夫), 위위(衛尉)의 직을 지냈다. 후에 재관장군(材官將軍)에 임명되어 흉노를 방어하는 책임을 맡았으나 싸움에 패하고 이어서 병사했다.

한적[漢賊] 중국과 중국을 거역하는 역적을 묶은 말로, 제갈량(諸葛亮)의 후출사표(後出師表)한 나라와 역적은 양립할 수 없다.[漢賊不兩立]”는 대목에서 나온다.

 

 



번호 제     목 조회
5081 한팽역자취[韓彭亦自取]~한팽저해[韓彭菹醢]~한평동살안[閒評僮殺雁] 1453
5080 한중[漢中]~한진[韓鎭]~한청[汗靑]~한침진경[漢寢震驚] 1597
5079 한제음풍[漢帝吟風]~한제폐북관[漢帝閉北關]~한주상림[漢主上林] 1380
5078 한절치월[漢節馳越]~한정부[閒情賦]~한정영동상[漢廷迎董相] 1468
5077 한자애련[韓子愛聯]~한장유[韓長孺]~한적[漢賊] 1564
5076 한음병[漢陰甁]~한의[漢儀]~한이[韓圯]~한일참광정[寒日慘光晶] 1425
5075 한유[韓柳]~한유[韓愈]~한음[漢陰]~한음기심[漢陰機心] 1678
5074 한언환[韓嫣丸]~한예용라[漢隷龍拏]~한와당[漢瓦當]~한우충동[汗牛充棟] 1595
5073 한아[寒鴉]~한안[汗顔]~한안국[韓安國]~한양애왕[韓襄哀王] 1585
5072 한습[寒拾]~한신[韓信]~한신내배수[韓信乃背水]~한실의관[漢室衣冠] 1451
5071 한소이두[韓蘇李杜]~한소후[韓昭侯]~한수[寒羞]~한수[韓壽] 1450
5070 한선[寒蟬]~한선자[韓宣子]~한선혜왕[韓宣惠王]~한섬노토[寒蟾露兎] 1525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