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항풍항우[恒風恒雨]~항하사[恒河沙]~항해[沆瀣]~항해금경[沆瀣金莖]~항해정양[沆瀣正陽]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389  

항풍항우[恒風恒雨] 노상 부는 바람과 노상 내리는 비. 서경(書經) 홍범(洪範)에 보인다.

항하[恒河] 인도 갠지스 강의 음역(音譯)이다.

항하사[恒河沙] 항하의 모래. 무수히 많다는 뜻이다. 항하는 인도의 갠지스강을 이른다.

항해[沆瀣] 깊은 밤중에 내리는 이슬 기운인데, 도가(道家)에서는 이것을 수명(修命)의 약으로 들이마신다. 열선전(列仙傳) 봄철에는 조하(朝霞), 여름철에는 항해를 복식(服食)한다.”라고 하였다.

항해금경[沆瀣金莖] 항해는 한밤중에 생겨나는 감로(甘露), 선인들이 마시는 것이며, 금경은 높은 하늘의 이슬을 받는 승로반(承露盤)이다. () 나라 무제(武帝)가 신선술에 미혹되어 감로를 받아 마셔 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하였다. 이에 건장궁(建章宮)에 신명대(神明臺)를 세우고 동()으로 선인장(仙人掌) 모양을 만들어 세워서 동반(銅盤)을 떠받치고서 감로를 받게 하였다. <漢書 卷25 郊祀志上>

항해부금경[沆瀣浮金莖] 항해는 한밤중에 생겨나는 감로(甘露), 선인들이 마시는 것이며, 금경(金莖)은 높은 하늘의 이슬을 받는 승로반(承露盤)이다. () 나라 무제(武帝)가 신선술에 미혹되어 감로를 받아 마셔 수명을 연장시키고자 하여, 건장궁(建章宮)에다가 신명대(神明臺)를 세우고 동으로 선인장(仙人掌) 모양을 만들어 세워서 동반(銅盤)을 떠받치고서 감로를 받게 하였다. <漢書 卷25上 郊祀志>

항해정양[沆瀣正陽] 항해(沆瀣)를 마시고 정양(正陽)으로 입을 씻는다는 구절이 있다. 천지의 정액(精液)이 새벽에는 항해가 되고, 낮에는 정양(正陽)이 된다는 것이다. <楚辭>

항행[抗行] 고결한 품행. 고결한 언행.

 

 



번호 제     목 조회
281 토반진갱[土飯塵羹]~토봉[吐鳳]~토사구팽[兎死狗烹]~토사호비[兎死狐悲]~토세[免勢] 1846
280 퇴어급류[退於急流]~퇴옥산[頹玉山]~퇴우[退憂]~퇴일과[退日戈] 1845
279 투아[偸兒]~투용장[投龍杖]~투유객할[投留客轄]~투의성[鬪蟻聲] 1843
278 호청경[虎聽經]~호축계[好祝雞]~호치단순[皓齒丹脣]~호탁씨[壺涿氏] 1840
277 파강[播降]~파강미[播糠眯]~파개[爬疥]~파경상천[破鏡上天] 1839
276 천황[天荒] ~ 천황팔만년[天皇八萬年] ~ 천후점기이해[天后占其利害] 1836
275 가슬석자[歌瑟析子]~가슬추연[加膝墜淵]~가습이호묘[家習而戶眇] 1834
274 칠정[七政] ~ 칠정선기[七政璿璣] ~ 칠조대의[漆雕大義] 1833
273 가아수년[假我數年]~가악[嘉樂]~가암[賈黯]~가액인[加額人] 1833
272 탄협[長彈鋏] ~ 탄협객[彈鋏客] ~ 탈계두육[奪鷄頭肉] ~ 탈금포[奪錦袍] 1832
271 탐호취자[探虎取子] ~ 탐화사자[探花使者] ~ 탐화연[探花宴] 1830
270 형혹[熒惑]~형화[荊花]~혜가[慧可]~혜가단비[惠可斷臂]~혜각[慧覺] 1830



   421  422  423  424  425  426  427  428  429  4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