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055  

화양귀마[華陽歸馬] 화양은 화산(華山)의 남쪽. () 무왕(武王)이 주()를 치는 전쟁을 끝낸 뒤에 다시는 전쟁을 하지 않겠다는 뜻으로, []을 화산(華山)에 돌려보내고 군수 물자를 나르던 소는 도림(桃林)의 들에 놓았다 한다. <書經 武成>

화양동[華陽洞] 화양동은 도가(道家) 삼십육동천(三十六洞天)의 제 8동으로 모군(茅君)이 다스리는 신선들이 산다는 곳이다.

화양은거[華陽隱居] 산중에 은거하면서도 매양 국사를 자문받았던 양() 나라 때의 도홍경(陶弘景)을 힐난하는 말이다. 도홍경은 은사(隱士)로서 자호가 화양은거(華陽隱居)이며, 일찍이 제 고제(齊高帝) 때에 제왕시독(諸王侍讀)을 지냈고 뒤에 구곡산(句曲山)에 은거하였다. 그는 특히 음양(陰陽오행(五行선술(仙術의술(醫術) 등에 뛰어났는데, 양 무제(梁武帝) 때에는 모든 국가의 대사(大事)를 반드시 그에게 자문하였으므로 당시 산중재상(山中宰相)이라는 칭호가 있었다. <南史 卷七十六 隱逸下>

화어소장[禍於蕭墻] 소장은 병풍으로 가까운 데에서 화란이 싹튼다는 뜻이다. 논어(論語) 계씨(季氏)나는 계손(季孫)의 걱정이 전유(顓臾)에게 있지 않고 소장(蕭墻) 안에 있을까 걱정이다.”라고 하였다.

화엄누각풍[華嚴樓閣風] 경각간에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화엽난겸여각치[花葉難兼如角齒] 뾰족한 뿔이 달린 짐승은 예리한 이빨이 없듯이 꽃이 아름다운 초목은 대체로 잎이 곱지 않다는 것이다.

화영[華英] 예쁜 꽃.

화예부인[花蕊夫人] 오대(五代) 후촉주(後蜀主)인 맹창(孟昶)의 부인인데, 문장에 능하여 궁사(宮詞) 1백 수()를 지었다. 후촉이 망한 후에도 항상 후촉을 잊지 않고 맹창의 초상에 제사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961 천상린[天上麟] ~ 천상방허석[天上方虛席] ~ 천상자기성[天上自騎星] 2047
4960 청전선[靑錢選] ~ 청전작[靑錢鷟] ~ 청점[靑黏] 2048
4959 청노[靑奴] ~ 청담아융[淸談阿戎] ~ 청동[靑童] 2049
4958 천심선허두견지[天心先許杜鵑知] ~ 천악[天樂] ~ 천안변초균[天眼辨楚菌] 2052
4957 화양귀마[華陽歸馬]~화양은거[華陽隱居]~화어소장[禍於蕭墻]~화예부인[花蕊夫人] 2056
4956 철간[鐵簡] ~ 철경록[輟耕錄] ~ 철고비[掇皐比] 2057
4955 청야[淸野] ~ 청양관[靑陽館] ~ 청련화중생[靑蓮火中生] 2057
4954 청사[靑詞] ~ 청사기사허[靑蛇氣射虛] ~ 청살[靑殺] 2060
4953 황간[黃幹]~황감동정[黃柑洞庭]~황강[黃崗]~황강고사[黃崗故事] 2062
4952 탈천형[脫天刑] ~ 탈태환골[奪胎換骨] ~ 탈토지세[脫兎之勢] ~ 탈포[奪袍] 2065
4951 부운[浮雲] ~ 부원손숙오[不願孫叔敖] ~ 부월[鈇鉞] 2066
4950 침명도[沈冥圖] ~ 침문[寢門] ~ 침비두예[沈碑杜預] ~ 침상현비[沈上峴碑] 2068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