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가부신재[可不愼哉]~가부좌[跏趺坐]~가부지친[葭莩之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781  

가부상중루[賈傅湘中淚] () 나라 가의(賈誼)가 장사왕(長沙王)의 태부(太傅)로 쫓겨난 뒤 상수(湘水)를 건너다가 이곳에서 빠져 죽은 굴원(屈原)을 생각하며 자신의 감회를 덧붙여 애도하는 글을 지었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84>

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 집안이 부유해지면 멀었던 친척들이 모인다는 뜻으로 인정이 야박(野薄)함을 꼬집은 말이다.

가부신재[可不愼哉] ‘可不~‘~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의 뜻. 는 감탄형 종결사. 보통 乎哉로 의문사와 겹쳐 쓰는 경우가 많다.

가부장제[家父長制] 부계(父系)의 가족(家族) 제도(制度)에 있어서 어머니 대신(代身) 아버지에 따라서 통을 따지며, 일체(一切) 집안일에 남자(男子)인 가장이 권력(權力)을 가지는 제도(制度)이다.

가부좌[跏趺坐] 가부좌는 결가부좌(結跏趺坐)의 약칭으로 본디 승려가 앉는 방법의 하나인데, 먼저 오른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놓고 다시 왼발을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놓는 것을 말한다.

가부좌[跏趺坐] 불교에서 앉는 방법의 하나. 결가부좌(結跏趺坐)라고도 한다. 먼저 오른 발을 왼편 넓적다리 위에, 왼발을 다시 오른편 넓적다리 위에 올려놓고 앉는 방식이다.

가부지친[葭莩之親] 갈대의 엷은 막을 말하는데, 친척 간의 관계가 매우 소원하고 옅은 것을 비유한다. 한서(漢書) 포선전(鮑宣傳)시중부마도위 동현은 본디 소원하나마 친척조차 없는데, 그저 교언영색만으로 스스로 출세했다.[侍中駙馬都尉董賢本無葭莩之親 但以令色諛言自进]”라는 말이 보인다. 안사고(顏師古)는 주()에서 “‘는 갈대이고, ‘는 갈대 속의 흰 막으로 매우 얇은 부분을 말한다. ‘가부는 얄팍한 것을 비유한다.[葭 蘆也 莩者 其筩中白皮至薄者也 葭莩喻薄]”고 설명했다.

 

 



번호 제     목 조회
5105 통천[通天]~통천대[通天臺]~통천서[通天犀]~통탈[桶脫]~통후[通侯] 1764
5104 치인설몽[痴人說夢] ~ 치자환주[癡子還珠] ~ 치장[植杖] 1765
5103 퇴고[推敲]~퇴문총[堆文冢]~퇴비익[退飛鷁]~퇴식[退食] 1765
5102 탁사[托社] ~ 탁세편편[濁世翩翩] ~ 탁심장[濯心腸] ~ 탁약한회[橐籥寒灰] 1766
5101 파연루[破煙樓]~파옹[坡翁]~파유[巴歈]~파일휘[把一麾] 1778
5100 타타[朶朶] ~ 타향승고향[他鄕勝故鄕] ~ 탁경뢰[籜驚雷] ~ 탁녀금[卓女琴] 1780
5099 가부소족취[家富疎族聚]~가부신재[可不愼哉]~가부좌[跏趺坐]~가부지친[葭莩之親] 1782
5098 칠사관잠[七事官箴] ~ 칠상[七相] ~ 칠성미양야[七聖迷襄野] 1793
5097 상여굴진[相如屈秦] ~ 상여권유[相如倦遊] ~ 상여벽립[相如壁立] 1794
5096 가시평[歌詩評]~가식[假息]~가식[家食]~가식고벌[可食故伐] 1794
5095 포옥삼련월[抱玉三連刖]~포옹[逋翁]~포옹구망구[抱瓮久忘劬] 1801
5094 칠시[七始] ~ 칠실우[漆室憂] ~ 칠십진구추[七十眞九雛] ~ 칠십칠자[七十七字] 1803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