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633  

가무[歌舞] 노래 부르고 춤을 추는 것이다.

가무경[歌無競] 가무경은 시경(詩經) 집경(執競)에서 중국 주()나라 무왕(武王)의 공을 칭송하면서 강력하신 무왕이여. 비할 데 없는 공렬이시도다. 드러나지 않을까, 성왕·강왕이여. 상제가 인군으로 삼으셨도다.[執競武王, 無競維烈. 不顯成康, 上帝是皇.]”라고 한 데서 나온 표현이다.

가무담석[家無擔石] ()은 한 항아리, ()은 두 항아리라는 뜻으로 집에 모아 놓은 재산이 조금도 없음을 말한다.

가무음곡[歌舞音曲] 노래와 춤과 음악(音樂)을 이른다.

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 낙빈왕(駱賓王)이 군중(軍中)에서 성루(城樓)에 올라 지은 <재군등성루(在軍登城樓)> 시이다. 전당시(全唐詩) 79성 위엔 바람의 위세가 싸늘하고, 강 속엔 물 기운이 차가워라. 이 전란을 어느 날에 평정하고서, 노래하고 춤추며 장안에 들어갈까.[城上風威冷 江中水氣寒 戎衣何日定 歌舞入長安]”라고 실려 있다.

가문[嘉聞] 좋은 평판을 이른다.

가미[價米] 물품이나 용역(用役) 등의 대가(代價)로 주는 미곡(米穀)을 이른다.

가민[可悶] 고민스럽다. 염려스럽다.

가밀[賈謐] 가후(賈后)의 여동생인 가오(賈午)가 한수(韓壽)에게 시집가서 밀()을 낳았는데, 가충(賈充)이 후사가 없으므로 한밀(韓謐)을 후사로 삼았다.

 

 



번호 제     목 조회
77 화속전[火粟田]~화수[火樹]~화수[火宿]~화숭[華嵩]~화승상투[花勝相投] 1641
76 함곡관[函谷關]~함공[緘供]~함관자기[函關紫氣] 1640
75 가고가하[可高可下]~가고분[歌叩盆]~가곡[歌哭]~가공[加功]~가공언[賈公彦] 1640
74 할마[瞎馬]~할목무전[割目無全]~할육충복[割肉充腹]~함계설향[含雞舌香] 1639
73 효성왕[孝成王]~효시[嚆矢]~효아총[孝鵝塚]~효제충신[孝悌忠信]~효증[殽脀] 1639
72 홍곡[鴻鵠]~홍관일[虹貫日]~홍교[虹橋]~홍구[鴻溝]~홍군[紅裙] 1635
71 환어[鰥魚]~환영[桓榮]~환이[桓伊]~환이[桓彝]~환이무쟁[桓伊撫箏] 1635
70 홍격기적[鴻隙譏翟]~홍경[弘景]~홍경비[弘慶碑]~홍경사비[弘慶寺碑] 1634
69 화주[火珠]~화주선학[華柱仙鶴]~화중지병[畵中之餠]~화지고침[畫紙敲針] 1634
68 가무경[歌無競]~가무담석[家無擔石]~가무입장안[歌舞入長安]~가미[價米] 1634
67 황사[黃沙]~황사랑[黃四娘]~황산곡[黃山谷]~황산대첩비[荒山大捷碑] 1633
66 가대[假對]~가대부[賈大夫]~가대상가[假貸商賈]~가대인[家大人]~가덕대부[嘉德大夫] 1633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