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858  

가설작라[可設雀羅] 사기(史記) 120 급정열전(汲鄭列傳)처음에 적공(翟公)이 정위(廷尉)가 되었을 때는 빈객들이 문에 가득 찾아왔는데, 그가 파면됨에 미쳐서는 빈객이 한 사람도 오지 않아서, 문밖에 새그물을 칠 정도였다.[始翟公爲廷尉 賓客闐門 及廢 門外可設雀羅]”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가설첨지첩[加設僉知帖] 가설은 정원 이외에 벼슬자리를 임시로 더 늘리는 일이므로 가설첨지첩은 정원 이외로 더 늘린 첨지(僉知)의 관첩(官帖)을 말한다. 첨지(僉知)는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의 약칭으로, 중추부(中樞府)의 당상(堂上) 3품 무관 벼슬이다.

가섭[迦葉] 가섭은 석가의 십대 제자의 한 사람인 마하 가섭파(摩訶迦葉波)로 불교의 장로(長老)가 된 사람이다. 석가가 죽은 뒤 승단을 이끌어 일대 조사(祖師)가 되었다. ‘두타제일(頭陀第一)’이라 불린다.

가섭[假攝] 일시적으로 직무를 대행함을 말한다.

가섭국[迦葉國] 삼국사기 권13 고구려본기 동명성왕 1년에 의하면, 부여(扶餘)의 왕 해부루(解夫婁)가 동해(東海) 바닷가 가섭원(迦葉原)으로 옮겨가서 세운 나라가 동부여(東扶餘)인데, 이 동부여를 가리킨 것인 듯하다. 해부루가 죽은 뒤에 금와(金蛙)가 동부여의 왕이 되었고, 금와가 죽은 뒤에는 장남 대소(帶素)가 뒤를 이었는데, 대소는 고구려 대무신왕과의 전투에서 죽었다. 정약용의 경세유표에는 가섭원의 위치를 현재의 강원도 강릉 지역이라고 하였으나 학자들 간에 이설이 있으며 정확한 위치는 미상이다.

 

 



번호 제     목 조회
101 항풍항우[恒風恒雨]~항하사[恒河沙]~항해[沆瀣]~항해금경[沆瀣金莖]~항해정양[沆瀣正陽] 1870
100 해구맹[海鷗盟]~해궁[海宮]~해기[駭機]~해기[薤鄿] 1862
99 판동[板桐]~판별방[辦別房]~판여[板輿]~판여오[板輿娛] 1861
98 형박삼헌[荊璞三獻]~형범숙존[荊凡孰存]~형벽수주[荊璧隋珠]~형부나함택[荊府羅含宅] 1859
97 가설작라[可設雀羅]~가섭[迦葉]~가섭[假攝]~가섭국[迦葉國] 1859
96 호구[狐丘]~호구[虎丘]~호구지계[狐丘之戒]~호구지책[糊口之策]~호군[護軍] 1856
95 해가[薤歌]~해객사[海客査]~해객조[解客嘲]~해곡[嶰谷]~해곡령[嶰谷伶] 1855
94 해수[亥首]~해수[薤水]~해수불파[海水不波]~해시[海市]~해시지와[亥豕之訛] 1853
93 한비세난[韓非說難]~한빙지옥[寒氷地獄]~한빙처[韓凭妻] 1850
92 한산[寒山]~한산편석[韓山片石]~한상[韓湘]~한생탈득동귀지[韓生奪得東歸志] 1849
91 화악[華嶽]~화악[龢樂]~화악루[花萼樓]~화양건[華陽巾]~화양군[華陽君] 1849
90 홍노[洪爐]~홍농도하[弘農渡河]~홍니[紅泥]~홍니[鴻泥]~홍도설니[鴻蹈雪泥] 1845



   431  432  433  434  435  436  437  438  439  4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