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오천【烏川】오천은 여말(麗末)의 충신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를 지칭한 말로, 그의 본관인 연일(延日)의 이칭이 오천이다.

오천공【烏川公】정몽주(鄭夢周)를 가리킨다. 정몽주는 고려 우왕(禑王) 3년(1377)에 일본에 사신으로 갔다.

오천문【五千文】오천문은 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말다. 사기(史記) 노자열전(老子列傳)에 “노자의 성은 이씨(李氏)요, 이름은 이(耳), 자(字)는 담(耼)이다. 그는 주(周) 나라에 오랫동안 있다가 주 나라가 쇠퇴하자 마침내 서쪽으로 가다가 함곡관(函谷關)에 이르렀는데, 관령(關令)으로 있던 윤희(尹喜)가 ‘선생께서 은퇴하시려거든 부디 저에게 글을 저술하여 물려주십시오.’ 하였다. 그래서 노자는 마침내 상ㆍ하편의 책을 저술하였는데, 주로 도덕에 관한 뜻으로 총 5천 글자를 써주고 갔다.” 하였다.

오천어【五千語】노자(老子)의 도덕경(道德經)을 가리킨다.

오천장【五千章】노자의 도덕경(道德經)을 말함. 도덕경이 모두 오천여 자(字)로 되어 있기 때문에 이른 것이다.

오천축【五天竺】인도를 말함

오체【吳體】시체(詩體)의 하나. 즉 오중(吳中)의 시체를 말한다.

오체투【五體投】불교식 절은 오체를 땅에 던지듯 하는데, 사지(四肢)와 머리를 오체(五體)라 한다.

오촉【烏蠋】액(蚅)과 같음.

오총구【五總龜】5인의 박식(博識)한 사람을 일컫는 말. 거북은 장수하여 천년 만에 다섯이 함께 모이는데, 무엇이든 물어 보면 모르는 것이 없다고 하므로, 당(唐) 나라 때에 박식하기로 이름이 높았던 안원손(顔元孫)ㆍ위술(韋述)ㆍ하지장(賀知章)ㆍ육상선(陸象先)ㆍ은천유(殷踐猷) 5인을 오총귀라 불렀던 데서 온 말이다. 《唐書 殷踐猷傳》

오추【吳趨】가곡 이름. 오인(吳人)이 자기들의 풍토를 노래한 것임.

오추【梧楸】오동과 가래나무.

오출빙【五出氷】오출은 꽃잎이 다섯으로 이루어진 매화를 말하고, 빙은 또한 매화를 추운 때에 핀다 하여 빙기(氷肌)ㆍ빙혼(氷魂) 등으로 일컫는 데서 온 말이다.

오측체【五仄體】측성(仄聲)의 글자만으로 이루어진 오언시를 말한다.

오칠포【烏漆】오칠은 안장(鞍裝)의 별칭이다. 송사(宋史) 여복지(輿服志)에 “자라원편(紫羅圓鞭)에 오칠안(烏漆鞍)”이라는 말이 있다.

오쾌【伍噲】상대방을 자신과 동렬(同列)로 인정한다는 뜻이다. 한 나라 때 한신(韓信)이 회음후(淮陰侯)로 강등되어 강후(絳侯) 주발(周勃)이나 영음후(穎陰侯) 관영(灌嬰) 등과 동렬이 된 것을 부끄럽게 여기고 있던 차에 번쾌(樊噲)를 찾아갔는데, 번쾌는 이미 무양후(舞陽侯)에 봉작되었으면서도 한신에 대하여 무릎을 꿇은 채 맞이하고 전송하면서, “대왕께서 신의 집에 왕림하여 주시니 영광스럽습니다.” 하였다. 그러자 한신이 문밖으로 나오며 웃으면서 이르기를, “나는 이에 번쾌 등과 같은 동렬이다.” 하였다. 《史記 卷92 淮陰侯列傳》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70/80/90

200/10/20/30/40/50/60/70/80/90/300/10/20/30/40/50/60/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