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청루【靑樓】기생집을 말한다.

청루몽【靑鏤夢】남조 때 문장이었던 기소유(紀少瑜)가 꿈에 문장 육수(陸倕)가 청루 붓 한 묶음을 주며 “자네는 이 중에서 좋은 것을 골라 쓰라.” 하였는데 그 뒤로 문장이 크게 진보되었다. 《南史 卷七十二 紀少瑜傳》

청류【淸流】청류는 청렴결백한 사람을 뜻함.

청류몰어이당【淸流沒於李唐】청류는 청렴 결백한 선비들을 뜻하는데, 당(唐) 나라 말기에 주전충(朱全忠)이 청류들을 질시하여 조신(朝臣) 30여 인을 백마역(白馬驛)에서 한꺼번에 죽이어 하수(河水)에 던져버린 고사에서 온 말이다. 《通鑑節要 唐紀》

청륙【靑陸】청륙은 달이 운행하는 길이다. 《文選 顔延之三月三日曲水詩序》 주에 “입춘(立春)ㆍ춘분(春分) 때에 달이 동청도(東靑道)로 행하는데, 청륙은 바로 동도이다.” 하였다.

청릉【靑綾】꽃 무늬가 아로새겨져 있는 비단의 직조물(織造物)로, 한(漢) 나라 때 상서랑(尙書郞)이 건례문(建禮門)에서 숙직할 때 지급했다는 고급 잠옷이다. 청선(靑璿)이란 말과 같다.

청릉【靑綾】푸른 깁으로 만든 이불로, 궁중에서 숙직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한(漢) 나라 때 상서랑(尙書郞)이 번을 서면 푸른 깁으로 만든 이불[靑綾被]과 흰 깁으로 만든 이불[白綾被], 또는 비단 이불[錦被]을 주었던 데서 유래한다.

청릉지【靑綾地】관각(館閣)을 가리킨다. 한(漢) 나라 때 상서랑(尙書郞)이 건례문(建禮門)에서 숙직할 때 푸른 비단 잠옷[靑綾被]을 지급했던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

청릉피【靑綾被】청릉으로 만든 이불을 말함. 한관의(漢官儀)에 의하면, 상서랑(尙書郞)이 입직(入直)하면 청릉피(靑綾被)를 제공한다고 하였다.

청리첩【靑李帖】진(晉) 나라 명필 왕희지(王羲之)가 ‘청리내금(靑李來禽)’이라 써서 서첩(書帖)을 만들었다. 청리는 오얏, 내금은 능금이다.

청림【靑林】천자(天子)의 어원(御苑)을 말한다. 《文選 張衡 思玄賦》

청명【靑冥】높은 하늘 위의 선경과 같은 제왕의 궁정(宮廷)을 말한다.

청명【靑冥】옛날 보검(寶劍)의 이름이다.

청명【靑冥】청천(靑天). 

청명상하도【淸明上河圖】명(明) 나라 십주(十洲) 구영(仇英)이 그린 그림 이름. 연암(燕巖) 박지원(朴趾源)이 지은 청명상하도 발문을 보면 “도읍의 부성(富盛)은 송(宋)의 변경(汴京)만한 데가 없고, 계절의 번화함은 청명(淸明)만한 때가 없고, 그림을 섬묘하게 그리기는 구영(仇英) 같은 이가 없다.” 하였으니, 이 그림은 구영이 청명 때 변경의 번화한 풍경을 그린 것이다.

청몽승저【淸夢乘軧】마음이 고상한 것을 비유한 말이다. 진(晉) 나라 때 위개(衛玠)가 악광(樂廣)에게 꿈이 무엇인가 묻자, 악광이 “생각에서 온 것이다.” 하니, 위개가 “형신(形神)이 아무 사물을 접하지 않고 꾸는 꿈은 무엇입니까?" 하고 물으므로 악광이 “이것은 원인[因]에서 온 것이다. 일찍이 수레를 타고 쥐구멍에 들어가서 철저(鐵杵)를 씹는 꿈을 꾸어 보지 못했다.” 하였는데, 이는 곧 아무 생각도 없고 원인도 없기 때문이라는 데서 온 말이다. 《世說新語 文學》

 

10/20/30/40/50/60/70/80/90/100/10/20/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