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珥[이이] 山中[산중] 산 속에서 길을 잃다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962  

 

山中[산중] 산 속에서 길을 잃다

 

- 李珥[이이] -

 

採藥忽迷路[채약홀미로] 약초 캐다 홀연히 길을 잃었네

千峯秋葉裏[천봉추엽리] 봉우리 마다 온통 단풍 속인데

山僧汲水歸[산승급수귀] 산승이 물 길어서 돌아간 뒤에

林末茶煙起[임말다연기] 숲에 피어오르는 차 끓이는 연기

 


이이[李珥] 조선 중기의 학자이자 문신. 본관은 덕수(德水), 자는 숙헌(叔獻), 호는 율곡(栗谷), 석담(石潭)이다. 아버지는 사헌부 감찰 이원수(李元秀)이며, 어머니는 사임당(師任堂) 신씨(申氏)이다. 어려서는 주로 외가가 있는 강릉에서 자라면서 어머니의 가르침을 받았다. 아명을 현룡(見龍)이라 했는데, 어머니 사임당이 그를 낳던 날 흑룡이 바다에서 집으로 날아 들어와 서리는 꿈을 꾸었다 하여 붙인 이름이다. 그 산실(産室)은 몽룡실(夢龍室)이라 하여 지금도 보존되고 있다. 어린 시절부터 총명해 신동으로 유명했던 이이는 1548(명종 3) 열세 살의 나이로 진사시에 장원으로 합격한 것을 시작으로 1564(명종 19) 식년문과에 장원급제하기까지 모두 9번에 걸쳐 장원을 해 세간에서는 그를 구도장원공(九度壯元公)이라 불렀다. 이황과 함께 조선 성리학의 양대 산맥으로 일컬어지며, 이이의 학통을 이은 서인 노론이 계속 집권하면서 사림의 종장으로 추앙받았다. <동호문답>, <성학집요> 등의 저술을 남겼다. 현실·원리의 조화와 실공(實功실효(實效)를 강조하는 철학사상을 제시했으며, <동호문답>·<만언봉사>·<시무육조> 등을 통해 조선 사회의 제도 개혁을 주장했다. 우리나라의 18대 명현(名賢) 가운데 한 명으로 문묘(文廟)에 배향되어 있다.

다연[茶煙] 찻물을 달일 때 나는 연기(煙氣).

 

 



번호 제     목 조회
194 林悌[임제] 無語別[무어별] 말 없은 이별 2020
193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三[월하독작4수3] 비단 같은 춘삼월 함양성에 2009
192 韋應物[위응물] 秋夜寄丘員外[추야기구원외] 빈 산의 솔방울 소리 2007
191 蘇軾[소식] 春夜[춘야] 봄밤 1999
190 韋應物[위응물] 淮上遇洛陽李主簿[회상우낙양이주부] 회상에서 낙양의 이주부를 만나다 1992
189 杜甫[두보] 憶弟二首[其一]억제2수1 / 동생 생각 1987
188 李珥[이이] 山中[산중] 산 속에서 길을 잃다 1963
187 白居易[백거이] 放言五首[其二]방언5수2 / 화복은 돌고 돌아 1951
186 丁若鏞[정약용] 打麥行[타맥행] 보리타작 1951
185 白居易[백거이] 對酒五首[其五]대주5수 / 문병 갔다 조문하니 1939
184 許蘭雪軒[허난설헌] 貧女吟[빈녀음] 가난한 처녀의 노래 1925
183 白居易[백거이] 勸酒十四首권주14수 : 何處難忘酒七首[其六]하처난망주7수6 1911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