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漢詩採集한시채집

하늘구경  



 

李仁老[이인로] 山居[산거] 산살이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36  

 

山居[산거] 산살이

 

- 李仁老[이인로] -

 

春去花猶在[춘거화유재] 봄은 갔어도 꽃은 아직도 있고

天晴谷自陰[천청곡자음] 맑은 날에도 골짜기는 침침하네

杜鵑啼白晝[두견제백주] 대낮에도 소쩍새 울어 대나니

始覺卜居深[시각복거심] 내 사는 곳이 깊은 줄을 알겠네

 


이인로[李仁老] 고려 후기의 문신이다. 자는 미수(眉叟). 호는 쌍명재(雙明齋). 초명은 득옥(得玉). 정중부(鄭仲夫)의 난 때 머리를 깎고 절에 들어가 난을 피한 후 다시 환속하였다. 당대의 석학(碩學) 오세재(吳世才임춘(林椿조통(趙通황보항(皇甫抗함순(咸淳이담지(李湛之) 등과 어울려 시주(詩酒)를 즐겼는데 그들과 더불어 강좌7(江左七賢)이라 일컬어졌다. 시문(詩文)뿐만 아니라 글씨에도 능해 초서(草書예서(隸書)가 특출하였다. 저서에 은대집(銀臺集), 후집(後集), 쌍명재집(雙明齋集), 파한집(破閑集) 등이 있다.

두견[杜鵑] 두견이. 금조(禽鳥)의 하나이다. 두우(杜宇)라고도 하고 자규(子規)라고도 한다. 우는 소리가 매우 처절한데 전설에 의하면, 촉제(蜀帝) 두우(杜宇)가 신하에게 쫓겨나 타향에서 원통하게 죽어서 그의 넋이 이 새로 화하였다고 한다. 이 새는 특히 봄철이면 밤낮으로 피눈물이 흐를 때까지 슬피 우는데, 예로부터 그 소리가 마치 돌아가느니만 못하다[不如歸去불여귀거]’와 비슷하다고 하여 나그네의 수심을 일으키는 매개물이 되었다. 우리말로는 접동새라 한다. 국어사전에는 소쩍새라고도 되어 있는데, 소쩍새는 올빼미과에 속하는 새로 두견이와는 그 생김새가 다르다.

천청[天晴] 하늘이 맑음. 맑음. 날씨가 개다. 맑아지다.

복거[卜居] 살 만한 곳을 가려서 정함. (점을 쳐서) 살 곳을 정하다. 거주할 곳을 선택하다.

 

 



번호 제     목 조회
218 杜甫[두보]乾元中寓居同谷縣作歌 03[건원중우거동곡현작가]아우들 아우들 2354
217 金炳淵[김병연]喪配自輓[상배자만]아내를 애도하며 2353
216 林億齡[임억령] 示子芳[시자방] 산벌이 나를 따라 2350
215 李白[이백] 月下獨酌四首其四[월하독작4수4] 시름은 많고 술은 적으나 2337
214 陶淵明[도연명] 飮酒二十首[其七]음주20수7 / 국화를 잔에 띄워 2313
213 杜牧[두목] 贈別二首[其二]증별2수2 / 이별하며 주다 2299
212 杜甫[두보] 秋雨嘆三首[其三]추우탄3수3 / 날개 젖은 기러기 2284
211 李白[이백] 對酒憶賀監二首[대주억하감2수] 술을 보니 친구가 그리워 2284
210 蘇軾[소식]許州西湖[허주서호]허주의 서호 2258
209 李仁老[이인로] 山居[산거] 산살이 2237
208 程顥[정호] 秋日偶成[추일우성] 가을날 문득 짓다 2233
207 李奎報[이규보] 夏日卽事二首[하일즉사2수] 여름 날 2219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