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허약허[許若虛] ~ 허유기표[許由棄瓢]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5,038  
♞허약허[許若虛] 약허(若虛)는 허실(許實)의 자(字)이다.
♞허옥여[許沃余] 옥여는 허계(許啓)의 자(字)이다.
♞허위류전[許魏留鐫] 중국의 사신인 허국(許國)과 위시량(魏時亮)을 가리킨다. 이들은 명종(明宗) 22년에 사신으로 나왔다.
♞허유[許由] 요임금 때 은자다. 전하는 바에 의하면 요임금이 그에게 임금의 자리를 선양하려고 하자 받지 않고 영수(穎水) 북쪽의 기산(箕山)으로 달아나 숨어버렸다. 그 뒤 다시 요임금이 불러 구주(九州)의 장을 맡기려고 했으나 그 말은 들은 허유는 자기 귀가 더렵혀졌다고 영수의 물가로 달려가 그 귀를 씻었다고 했다. 허유의 이야기는 장자(莊子)의 소요유(逍遙遊), 서무귀(徐無鬼), 양왕(襄王) 등의 편에 수록되어 있다.
♞허유[許由] 중국 상고(上古) 시대의 고사(高士)로서 요(堯)가 천하를 양보하려 하자 거절하고 기산(箕山)에 숨었으며 또 그를 불러 구주(九州)의 장(長)으로 삼으려 하자 영수(潁水) 물가에 가서 귀를 씻었다 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요 임금이 허유에게 천하를 물려주려고 하니, 허유는 ‘당신이 천하를 다스려 천하는 이미 잘 다스려졌습니다. 그런데 내가 당신을 계승한다면 나는 장차 명예를 위하라는 말입니까? 뱁새가 깊은 숲에 서식(棲息)하여도 한 개의 나뭇가지에 의지할 뿐인 것입니다. ……그러니 당신은 돌아가십시오.’ 하고 사양했다.” 하였다.
♞허유기표[許由棄瓢] 당요(唐堯) 시절의 고상한 은사였던 허유(許由)가 기산(箕山)에 숨어살며 물을 떠 마실 그릇이 없기 때문에 손으로 늘 움켜 마셨는데 그것을 본 어떤 사람이 바가지 한 짝을 그에게 주었다. 허유는 그 바가지로 물을 퍼 마시고는 나뭇가지에다 걸어 두었더니 바람이 불면 딸그락 딸그락 소리가 나는 것이었다. 그러자 허유는 그것이 번거롭다 하여 바가지를 버리고 다시 손으로 움켜 마셨다고 한다. <琴操>
 
 



번호 제     목 조회
4961 독서백편의자현[讀書百遍義自見] ~ 독서삼도[讀書三到] ~ 독서상우[讀書常友] 5038
4960 간뇌도지[肝腦塗地] ~ 간담초월[肝膽楚越] 5031
4959 계구[鷄狗] ~ 계궁역진[計窮力盡] 5030
4958 육적[六籍]/육적회귤[陸績懷橘]/육전서[六典書] 5029
4957 일몽읍경괴[一夢泣瓊瑰] ~ 일묵도망진일언[一黙都忘盡日言] ~ 일민[逸民] 5028
4956 자서[字書] ~ 자서검결[子胥劍決] ~ 자서결안[子胥抉眼] 5027
4955 백하[白下] ~ 백하골[柏下骨] 5023
4954 습재[習齋] ~ 습착치[習鑿齒] 5021
4953 팔의[八議] ~ 팔절[八節] 5020
4952 패어[佩魚] ~ 패우독[佩牛犢] 5019
4951 춘치자명[春雉自鳴] ~ 춘휘보하방[春暉報何方] 5018
4950 장정위[張廷尉] ~ 장조염승명려[莊助厭承明廬] ~장족자율사[將哫訾栗斯] 5018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