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나사[蘿絲] ~ 나악주[羅鄂州] ~ 나양해장보[裸壤駭章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32  

나사[蘿絲] 나사는 덩굴식물인 토사(菟絲)와 여라(女蘿)가 서로 뒤엉키듯 두 집안이 혼인 관계로 밀접하게 맺어진 것을 비유하는 시어이다.

나생[羅生] 나란히 자라나다.

내성[奈城] 내성은 안동(安東)의 속현(屬縣) 이름이다.

나소위[羅紹威] 후양(後梁)의 정치가이며 학자이다. 자는 단기(端己), 벼슬이 태사(太師) 겸 중서령(中書令)에 이르렀고, 저서에 투강동집(偸江東集)이 있다.

나악주[羅鄂州] () 나라 나원(羅願)을 가리킨 말로, 나원이 악주(鄂州)의 장관(長官)을 지냈으므로 이른 말이다. 사장(詞章)의 대가(大家)로 이아익(爾雅翼)을 지었다. <宋史 羅願傳>

나양[裸壤] 나라 이름이다. 이 나라는 사람들이 무례하여 옷을 입지 않고 알몸으로 생활을 한다고 한다.

나양봉[羅兩峯] 나양봉은 청 나라 양주(揚州) 사람인데 이름은 빙(), 자는 돈부(遯夫), 호는 양봉이며 또는 화지사승(花之寺僧화지인(花之人주초시림(朱草詩林)이라 한다. 김농(金農)의 제자, 김동심(金冬心)의 고제(高弟)로서 시에 능하고 그림을 잘 하였으며, 더욱이 화매(畫梅)로써 해내외에 독절(獨絶)하였다.

나양해장보[裸壤駭章甫] 소인이 군자를 도리어 나쁘게 여김을 비유한 말이다. 나양은 벌거벗은 몸에 문신(文身)한 것을 말하고, 장보(章甫)는 은() 나라 때의 관() 이름인데, 공자가 항상 이 관을 썼으므로, 전하여 유자(儒者)의 뜻으로 쓰인다.

 

 



번호 제     목 조회
4529 유검[遺劍] ~ 유게주남사자헌[留憩周南使者軒] ~ 유견쟁지타작훤[惟見爭枝墮雀喧] 2633
4528 유황부제[劉簧不第] ~ 유효[游梟] ~ 유후[留侯] 2633
4527 창화[菖花] ~ 채각관[豸角冠] ~ 채군모[蔡君謨] 2633
4526 비근[飛根] ~ 비기출동원[秘器出東園] ~ 비단성풍수[鼻端成風手] 2634
4525 상당[上黨] ~ 상대[霜臺] ~ 상돈[上暾] 2636
4524 요서지일지[鷯棲只一枝] ~ 요송[謠誦] ~ 요수수통매[燎鬚隨痛妹] 2636
4523 담점[黕點] ~ 담천[談天] ~ 담치[湛熾] 2637
4522 백련[白蓮] ~ 백련사[白蓮社] 2639
4521 문시리[聞詩鯉] ~ 문약반[捫籥盤] ~ 문염무희[文恬武嬉] 2640
4520 양제변하추랭락[煬帝汴河秋冷落] ~ 양조[煬竈] ~ 양졸[養卒] 2644
4519 대곡서당[大谷書堂] ~ 대공무사[大公無私] ~ 대공선[大空禪] 2645
4518 반함[攀檻] ~ 반형언지[班荊言志] ~ 반혼향[返魂香] 2647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