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대곡서당[大谷書堂] ~ 대공무사[大公無私] ~ 대공선[大空禪]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41  

♞ 대곡서당[大谷書堂] 나주 금성산(錦城山) 기슭에 있는 서원으로 문경공(文敬公) 한훤당(寒暄堂) 김굉필(金宏弼), 문헌공(文獻公) 일두(一蠹) 정여창(鄭汝昌), 문정공(文正公) 정암(靜庵) 조광조(趙光祖), 문원공(文元公) 회재(晦齋) 이언적(李彦迪), 문순공(文純公) 퇴계(退溪) 이황(李滉) 등 오현(五賢)을 향사(享祀)하였다.

♞ 대공무사[大公無私] 매우 공평하여 사사로움이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사사로운 정에 얽매이지 않고 객관적인 입장에서 공평하게 일을 처리하는 것을 가리킨다. 춘추시대 진(晉)나라 평공(平公)이 하루는 기황양(祁黃羊)에게 물었다. “남양(南陽)에 현령(縣令) 자리가 비었는데 누구를 보내는 것이 가장 좋겠는가?” 기황양은 주저하는 기색 없이 즉시 대답하였다. “해호(解狐)를 보내면 반드시 임무를 훌륭히 수행할 것입니다.” 평공은 깜짝 놀라며 물었다. “해호는 그대와 원수지간이 아닌가? 어찌하여 해호를 추천하는 것인가?” 기황양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왕께서는 현령 자리에 누가 적임자인지를 물으셨지 누가 신과 원수지간이냐를 물으신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그후 어느 날 평공이 다시 “조정에 법을 집행할 사람이 한 명이 필요한데 누구를 임명하는 것이 좋겠소?” 하고 묻자, 기황양은 서슴없이 자기 아들을 추천하였다. 평공이 “그는 그대 아들이 아닌가?” 하고 묻자, 기황양은 이렇게 대답하였다. “누가 그 일에 적임자냐고 물으셨지, 그가 내 아들인지 아닌지를 물으신 것이 아니지 않습니까? 신은 비록 제 아들이라도 그 자리에 적격이기에 추천한 것이지 사사로운 정으로 추천한 것이 아닙니다.”라 하였다 한다. <십팔사략(十八史略)>

♞ 대공선[大空禪] 소승(小乘)의 편공(偏空)에 상대말로서, 대승 구경(大乘究竟)의 공적(空寂)을 대공이라 하는데, 그 경지에 이르렀다는 말. 곧 대승의 열반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529 나사[蘿絲] ~ 나악주[羅鄂州] ~ 나양해장보[裸壤駭章甫] 2631
4528 무창적니[武昌赤泥] ~ 무채흔흔[舞彩欣欣] ~ 무택[無澤] 2631
4527 유황부제[劉簧不第] ~ 유효[游梟] ~ 유후[留侯] 2631
4526 상당[上黨] ~ 상대[霜臺] ~ 상돈[上暾] 2632
4525 유검[遺劍] ~ 유게주남사자헌[留憩周南使者軒] ~ 유견쟁지타작훤[惟見爭枝墮雀喧] 2632
4524 담점[黕點] ~ 담천[談天] ~ 담치[湛熾] 2635
4523 요서지일지[鷯棲只一枝] ~ 요송[謠誦] ~ 요수수통매[燎鬚隨痛妹] 2635
4522 백련[白蓮] ~ 백련사[白蓮社] 2637
4521 문시리[聞詩鯉] ~ 문약반[捫籥盤] ~ 문염무희[文恬武嬉] 2638
4520 체동[螮蝀] ~ 체두시[杕杜詩] ~ 체악영[棣萼榮] 2638
4519 양제변하추랭락[煬帝汴河秋冷落] ~ 양조[煬竈] ~ 양졸[養卒] 2641
4518 대곡서당[大谷書堂] ~ 대공무사[大公無私] ~ 대공선[大空禪] 2642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