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비관[鼻觀] ~ 비관혁[非貫革] ~ 비광[斐狂]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23  

비관[鼻觀] 불교(佛敎)의 용어로서 비단백(鼻端白)을 관()하는 불교 수행법의 하나로, 즉 스스로 자신의 코끝을 관찰하는 법. 그리하여 연기처럼 드나드는 콧속의 기()를 관찰하다보면 신심(身心)이 안으로 밝아지고 연기가 점차 사라져서 비식(鼻息)이 많아진다고 한다. 능엄경(楞嚴經) 5세존(世尊)이 나와 구시라(拘絺羅)에게 코 끝에서 나오는 흰 연기를 보는 참선법[觀鼻端白]’을 가르쳐 주셨다.”는 말이 나온다.

비관[鼻觀] 콧구멍을 말한다. 소식의 소향시(燒香詩)不及聞思所及 且令鼻觀先叅이라 하였다.

비관혁[非貫革] 논어(論語) 팔일(八佾)활쏘기에 과녁 뚫는 것을 중시하지 않는 것은 힘이 같지 않기 때문이니 이것이 옛날의 도다.”라 하였는데, 그 주에 활쏘기란 덕을 보는 것이므로 맞추는 것을 중시하고 과녁 뚫는 것을 중시하지 않는다. 이는 사람의 힘이 강약이 있기 때문이다.”라 하였다.

비광[斐狂] 공자는 타국에 있을 때 말하기를 돌아가야겠다. 우리 고향의 소자(小子)들이 광간(狂簡)하여 비연(斐然)히 문장을 이루었으나 재단할 바를 모른다.”라 하였다. ()은 실천이 높은 뜻에 미치지 못한다는 뜻이요, 비연은 문장이 빛난다는 뜻이다.

비광[斐狂] 비는 환하게 문채가 나는 것을 말하고, 광은 뜻이 너무 커서 언행이 상규에 어긋나는 것을 이른 말로, 공자(孔子)가 진()에 있을 적에 이르기를 돌아가야겠구나! 오당(吾黨)의 소자(小子)들이 광간(狂簡)하여 비연(斐然)히 문장을 이루었으나 재단할 바를 모르는도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論語 公冶長>

 

 



번호 제     목 조회
4541 유씨익[劉氏溺] ~ 유아[唯阿] ~ 유아독존[唯我獨尊] 2620
4540 창해구석[滄海驅石] ~ 창해군[倉海君] ~ 창해일속[滄海一粟] 2621
4539 노련[魯連] ~ 노련범벽해[魯連泛碧海] ~ 노련유적[魯連遺迹] 2622
4538 외가[外價] ~ 외간서[畏簡書] ~ 외광[畏匡] 2623
4537 동어[銅魚] ~ 동엽봉제[桐葉封弟] ~ 동영[東瀛] 2624
4536 비관[鼻觀] ~ 비관혁[非貫革] ~ 비광[斐狂] 2624
4535 서곤[西崑] ~ 서공부[舒公賦] ~ 서군[書裙] 2625
4534 수병[守甁] ~수복진성야리행[繡服眞成夜裏行]~ 수부사군[繡斧使君] 2625
4533 요지원심목[腰肢怨心目] ~ 요지유[繞指柔] ~ 요첩[瑤牒] 2627
4532 창화[菖花] ~ 채각관[豸角冠] ~ 채군모[蔡君謨] 2628
4531 선적[禪寂] ~ 선조용상[仙曹龍象] ~ 선조적편[先祖逖鞭] 2629
4530 비근[飛根] ~ 비기출동원[秘器出東園] ~ 비단성풍수[鼻端成風手] 263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