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상주[桑洲] ~ 상주유치순[桑疇有雉馴] ~ 상중환[桑中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09  

♞ 상주[桑洲] 상주는 해 뜨는 부상(扶桑)의 섬이라는 뜻으로, 동해 바다 속의 십주(十洲), 즉 신산(神山)을 가리킨다.

♞ 상주[相州] 후위(後魏) 때 설치한 하남성(河南省)의 한 고을이다.

♞ 상주[霜麈] 흰색 주미. 고라니의 꼬리는 먼지가 잘 떨린다 하여 그 꼬리털로 만든 먼지떨이를 청담(淸談)하던 사람들이 많이 가졌었는데, 뒤에는 불도(佛徒)들도 많이 가지고 다녔다.

♞ 상주상각[商周相角] 상탕(商湯)이 하(夏) 나라를 쳐서 천하를 차지한 일과 주 무왕(周武王)이 상 나라를 쳐서 천하를 차지한 일을 가리킨 말이다.

♞ 상주유치순[桑疇有雉馴] 지방관의 선정을 비유한 말이다. 후한(後漢) 때 노공(魯恭)이 중모령(中牟令)이 되어 선정을 베풀자, 뽕나무 밑에 길들은 꿩이 있는 상서가 있었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卷二十五>

♞ 상준[上尊] 제일 좋은 술이다. 상준주(上尊酒).

♞ 상중금환[桑中金鐶] 진(晉) 나라 때 양호(羊祜)가 5세 적에 유모(乳母)에게 자기가 가지고 놀던 금환(金鐶)을 내놓으라고 하므로, 유모가 애당초 그런 것이 없었다고 말하자, 양호가 이웃 이씨(李氏) 집에 있는 뽕나무 속을 더듬어 금환을 찾아내니, 그 주인이 놀라면서 말하기를 “이것은 우리 죽은 아이가 잃어 버린 물건이다.”라고 하여 당시 사람들이 이씨 집 아이가 곧 양호의 전신(前身)이었다고 일컬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 상중지희[桑中之喜] 뽕나무 밭에서의 밀회, 음사(淫事), 간통(姦通). 예법(禮法)에 맞지 않는 남녀간의 결합, 혹은 남의 눈을 피해 즐기는 청춘 남녀간의 사랑놀이를 말한다. 춘추 시대 초(楚) 나라의 굴무신(屈巫臣)이 정(鄭) 나라의 하희(夏姬)에게 뜻을 두고는, 바야흐로 출정(出征)을 할 때 가산(家産)을 모두 수습하여 가지고 가자, 대부(大夫) 신숙궤(申叔跪)가 “이상하도다. 그대는 삼군 출동과 관련된 두려운 임무를 맡고 있는 터에, 또 뽕나무밭에서 여자와 밀회하는 기쁨을 맛보려 하고 있구나[異哉 夫子有三軍之懼 而又有桑中之喜]”라고 비평한 고사가 있다. <左傳 成公 2年>

♞ 상중환[桑中鐶] 진(晋)나라 양호(羊祜)가 5세 때 유모를 시켜 옆 이씨집 담 구멍에서 전생에 가지고 놀던 금환(金環)을 가져오게 했다는 고사가 있다.

 

 



번호 제     목 조회
797 우위락행[憂違樂行] ~ 우유초[牛乳草] ~ 우의경허이[牛蟻驚虛耳] 2619
796 문내아제문외매[門內兒啼門外邁] ~ 문다격세치[門多擊轊輜] ~ 문동도[文東道] 2618
795 부서[扶胥] ~ 부서[賦芧] ~ 부서혁군[腐鼠嚇君] 2618
794 상[象] ~ 상[商] ~ 상[相] 2617
793 수무[修武] ~ 수묵쟁[輸墨爭] ~ 수문[脩門] 2616
792 반간[反間] ~ 반경[半鏡] ~ 반경환원[半鏡還圓] 2615
791 반생[班生] ~ 반생불자각[半生不自覺] ~ 반생투필[班生投筆] 2614
790 반야주이학[半夜舟移壑] ~ 반양[班揚] ~ 반엄[半掩] 2612
789 봉래천[蓬萊淺] ~ 봉래풍악[蓬萊楓岳] ~ 봉류[封留] 2611
788 연계[蓮界] ~ 연곡사온율[燕谷思溫律] ~ 연공필[燕公筆] 2611
787 유생사천녀[柳生祠天女] ~ 유생절교[劉生絶交] ~ 유서무릉구[遺書茂陵求] 2611
786 부노피은영[負弩被恩榮] ~ 부당책[斧撞責] ~ 부동심[不動心] 2610



   371  372  373  374  375  376  377  378  379  3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