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용뇌선[龍腦蟬] ~ 용도[龍韜] ~ 용두사미[龍頭蛇尾]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94  

용뇌[龍腦] 용뇌수(龍腦樹)에서 채취한 향기로운 결정체(結晶體)를 말한다. <本草>

용뇌선[龍腦蟬] 양비외전(楊妃外傳)교지국(交趾國)에서 서룡뇌를 진상해 왔는데 그 모양이 선잠(蟬蠶)과 비슷하였다. 이를 임금이 귀비에게 주었는데 귀비가 몰래 안녹산에게 주었다.”라고 하였다.

용다[龍茶] 용차는 용봉차(龍鳳茶), 차 가운데 가장 질이 좋은 차를 말한다.

용단[涌湍] 출렁이는 여울물.

용덕[龍德] 임금의 덕을 일컫는 말이다.

용도[龍韜] () 나라 강태공(姜太公)이 지은 병서(兵書)인 육도(六韜) 중의 한 편()이다. 즉 병법(兵法)을 말한 것이다.

용도[甬道] 양쪽에 담을 쌓은 길로, 군량을 운반하는 길이다.

용두[龍頭] 용두는 과거 시험에 장원(壯元)으로 급제하는 것을 말한다.

용두객[龍頭客] 과거 시험에 장원(壯元)한 사람을 일컫는 말이다.

용두사미[龍頭蛇尾] 용 머리에 뱀 꼬리. 처음은 좋았다가 갈수록 나빠짐. 또는 시작은 힘차게 하고 끝은 보잘것없음. 무슨 일을 거창하게 시작하지만 끝에 가서는 보잘 것 없이 흐지부지 끝나는 경우, 시작만 좋고 나중은 좋지 않음을 비유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817 설파[囓破] ~ 설형[雪螢] ~ 설회초무[雪回楚舞] 2299
4816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300
4815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303
4814 방숙유하양도해[方叔踰河襄蹈海] ~ 방아[放衙] ~ 방애[芳薆] 2303
4813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305
4812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306
4811 요야공근궁토궤[遼野空勤躬土簣] ~ 요양[遼陽] ~ 요와증[饒瓦甑] 2307
4810 월탁[越橐] ~ 월탁금[越槖金] ~ 월평[月評] 2312
4809 화제[花蹄]~화제[火帝]~ 화제[火齊]~화조[火棗]~화조월석[花朝月夕]~화종구생[禍從口生] 2312
4808 병편작목[秉鞭作牧] ~ 병혈[丙穴] ~ 병협군[騈脅君] 2314
4807 봉사[鳳社] ~ 봉산관[蓬山館] ~ 봉산장실[蓬山藏室] 2314
4806 사롱[紗籠] ~ 사롱정호[紗籠正護] ~ 사롱호상인[紗籠護像人] 2314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