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임하풍[林下風] ~ 임학보객[林鶴報客] ~ 임화정[林和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755  

임하풍[林下風] () 나라 때 사안(謝安)의 질녀로서 뛰어난 여류 문인인 사도운(謝道韞)에 대하여 어떤 이가 평하기를 신정이 소산하고 명랑하여 임하의 풍기가 있다.[神情散朗 故有林下風氣]”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九十六>

임학보객[林鶴報客] 임학은 곧 송() 나라 때 은군자(隱君子)로 불리던 임포(林逋)의 학을 이른다. 임포가 고산(孤山)에 은거하면서 항상 두 마리의 학을 길렀는데, 임포가 항상 작은 배를 타고 서호(西湖)에서 노닐었으므로, 혹 손이 임포를 찾아올 경우, 동자(童子)가 학의 우리를 열어 주면 학들이 나가서 날므로 임포가 그것을 보고서 손이 온 것을 알고 집으로 돌아오곤 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宋史 卷四百五十七>

임학지[林壑志] 숲속 산골에 은거하고픈 마음을 말한다.

임행인[林行人] 외교(外交)를 맡은 관명(官名)이다.

임헌시[臨軒試] 왕이 나와서 직접 보이는 시험을 말한다.

임화정[林和靖] 화정은 송() 나라 임포(林逋)의 시호. 성품이 담박하여 명리(名利)를 구하지 않고 처자도 없이 서호(西湖)에 은거한 지 20여 년 동안 한 번도 성시(城市)에 나오지 않았다. 서화와 시문에 능하였으며 매화를 심고 학을 기르는 것을 취미로 삼았으므로 당시 사람들이, 매화는 그의 아내이고 학은 그의 아들이라 일컬었다. 그의 매화시(梅花詩)성긴 그림자는 맑고 얕은 물에 비치고, 그윽한 향기는 황혼의 달에 풍기누나.[踈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697 대기대용[大機大用] ~ 대나천[大羅天] ~ 대년춘[大年椿] 4757
4696 삼색도화[三色桃花] ~ 삼생석[三生石] 4756
4695 임하풍[林下風] ~ 임학보객[林鶴報客] ~ 임화정[林和靖] 4756
4694 회안[淮安] ~ 회양와십년[淮陽臥十年] 4755
4693 정전[筳篿] ~ 정절동고소[靖節東臯嘯] 4753
4692 장낙[長樂] ~ 장니[障泥] 4751
4691 자웅[雌雄] ~ 자웅미변[雌雄未辨] 4745
4690 오악사독[五嶽四瀆] ~ 오악유[五岳遊] ~ 오안[五眼] 4745
4689 십이도[十二徒] ~ 십이문도[十二門徒] 4744
4688 가의류체이[賈誼流涕二] ~ 가의치안책[賈誼治安策] 4743
4687 원진[元鎭] ~ 원진단심[元鎭丹心] ~ 원차산[元次山] 4743
4686 삼천약수[三千弱水] ~ 삼천지교[三遷之敎] 4742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