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상담병[紙上談兵] ~ 지생모[紙生毛] ~ 지성설적상[至誠說狄相]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943  

지산[芝山] 지산은 조호익(曺好益)의 호이다.

지상담병[紙上談兵] 종이 위에서 병법을 말한다는 뜻으로, 이론에만 밝을 뿐 실제적인 지식은 없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지생[脂生] 공융이 조조(曹操)에게 죽음을 당했을 때 아무도 그 시신(屍身)을 수습해 주는 사람이 없었는데, 일찍이 친하게 지내던 지습(脂習)이 시체를 어루만지며 문거(文擧 공융의 자())가 나를 버리고 죽었으니, 내가 살아서 무엇하랴.[文擧舍我死 吾何用生焉]”라고 애도를 하다가 조조에게 죽을 뻔했던 고사가 있다. <漢書 孔融傳>

지생모[紙生毛] 고관(高官)의 집에 명자(名刺)를 자주 들여서 종이에 털이 났다는 말이다.

지서[至曙] 새벽이 되다. 날이 밝다.

지석조우[智昔曹愚] 논어 공야장에 영무자(甯武子)는 나라에 도()가 있을 때는 지혜롭고 나라에 도()가 없을 때는 어리석었으니, 그 지혜는 미칠 수 있지만 그 어리석음은 미치기 어렵다.” 했다.

지선[地仙] 지행선(地行仙)의 준말로, 신선처럼 한가하게 은거 생활을 하는 노인을 뜻하는 말이다.

지성[芝城] 봉래산(蓬萊山)에 있다는 신선 궁전.

지성감천[至誠感天] 지극(至極)한 정성(精誠)에 하늘이 감동(感動)한다.

지성설적상[至誠說狄相] 적상은 당()의 명재상 적인걸(狄仁傑)을 가리킨다. 당 나라 측천무후(則天武后)는 아들 중종(中宗)을 폐위시키고 자신이 직접 나라를 다스렸는데, 적인걸이 자주 모자간의 은정을 말하자, 측천무후는 깨닫고 방주(房州)에 쫒겨가 있던 중종을 소환하여 다시 임금을 삼았다. <新唐書 狄仁傑傳>

 

 



번호 제     목 조회
4793 책상퇴물[冊床退物] ~ 책시[簀尸] ~ 책시범자[簀尸范子] 2331
4792 발거[拔去] ~ 발내포[鉢內布] ~ 발도[拔都] 2335
4791 욕좌목후도사해[欲佐沐猴圖四海] ~ 욕청장영[欲請長纓] ~ 용가방[龍哥榜] 2339
4790 내공[乃公] ~ 내구붕[耐久朋] ~ 내농작[內農作] 2339
4789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2339
4788 원류[源流] ~ 원명[元明] ~ 원묘[原廟] 2343
4787 척지금성[擲地金聲] ~ 척지신성우설배[擲地新聲虞薛輩] ~ 척척[戚戚] 2343
4786 초백주[椒柏酒] ~ 초벽도[楚璧盜] ~ 초복록[蕉覆鹿] 2343
4785 비굉원우[碑轟元祐] ~ 비구절[臂九折] ~ 비극당위태[否極當爲泰] 2344
4784 부봉[附鳳] ~ 부부가[拊缶歌] ~ 부비엽[鳧飛葉] 2345
4783 방삭[方朔] ~ 방삭삼천독[方朔三千牘] ~ 방삭포삼도[方朔飽三桃] 2347
4782 문원갈[文園渴] ~ 문원봉황곡[文園鳳凰曲] ~ 문원억매[文園憶梅] 2348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