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소적[枝掃迹] ~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 지어지앙[池魚之殃]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598  

지소적[枝掃迹] 공치규(孔稚圭)가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혹은 나뭇가지를 날려 수레를 부수기도 하고 혹은 나뭇가지를 낮게 드리워 속인(俗人)의 자취를 쓸어버린다.[或飛柯以折輪 或低枝而掃迹]”는 내용이 있다.

지수[祗樹] 지수는 불가의 말로 지수급고독원(祗樹給孤獨園)의 약칭인데 이 동산의 정사(精舍)에서 부처가 설법(說法)하였다.

지수[芝髓] 지초(芝草)의 골수를 이름.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하잘것없는 존재들은 무슨 물정을 알지 못한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아침에 난 버섯은 초하루 그믐을 알 수 없고, 씽씽 매미는 봄·가을을 알 도리가 없는 것이다.” 하였다.

지심돈교[指心頓敎] 지심의 교()는 선종(禪宗)에서 말하는 돈오법(頓悟法)을 가리킨다.

지아포[知我鮑] 춘추 때 제()의 관중(管仲)이 그를 알아주는 지극한 벗 포숙아(鮑叔牙)에게 이른 말. “나를 낳은 이는 부모어니와, 나를 알아 준 이는 포숙이다.” 하였다.

지어[知魚] 장자(莊子)와 혜자(惠子)가 호량(濠梁)에서 노닐 적에 물속에 고기가 노는 것을 보다가 장자가 물고기가 매우 즐겁구나.” 하니, 혜자가 말하기를 자네가 고기가 아닌데 어떻게 고기의 낙을 안단 말인가?”하니, 장자가 대답하기를 자네는 내가 아닌데 어떻게 내가 고기의 낙을 모를 줄을 아는가?”한 데서 온 말이다. <莊子 秋水>

지어구[志於彀] 맹자(孟子) 고자 상편(告子上篇)남에게 활쏘기를 가르치는 사람은 반드시 구()에도 뜻을 두나니, 배우는 사람도 또한 반드시 구()에다 뜻을 두어야 한다.”는 말이 있다.

지어지앙[池魚之殃] 연못의 물고기에게 닥친 재앙. 성에 불이나 성 밖에 있는 연못의 물로 불을 끄느라고 연못의 물이 다 없어져 물고기가 죽게 된 고사에서 비롯된 말. 죄도 없고 아무 관계도 없는데 재앙이 닥치는 것을 말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793 책상퇴물[冊床退物] ~ 책시[簀尸] ~ 책시범자[簀尸范子] 2336
4792 발거[拔去] ~ 발내포[鉢內布] ~ 발도[拔都] 2338
4791 욕좌목후도사해[欲佐沐猴圖四海] ~ 욕청장영[欲請長纓] ~ 용가방[龍哥榜] 2341
4790 내공[乃公] ~ 내구붕[耐久朋] ~ 내농작[內農作] 2342
4789 처음식영[處陰息影] ~ 처제[妻齊] ~ 처중[處仲] 2343
4788 원류[源流] ~ 원명[元明] ~ 원묘[原廟] 2345
4787 비굉원우[碑轟元祐] ~ 비구절[臂九折] ~ 비극당위태[否極當爲泰] 2347
4786 척지금성[擲地金聲] ~ 척지신성우설배[擲地新聲虞薛輩] ~ 척척[戚戚] 2347
4785 방삭[方朔] ~ 방삭삼천독[方朔三千牘] ~ 방삭포삼도[方朔飽三桃] 2349
4784 부봉[附鳳] ~ 부부가[拊缶歌] ~ 부비엽[鳧飛葉] 2349
4783 문원갈[文園渴] ~ 문원봉황곡[文園鳳凰曲] ~ 문원억매[文園憶梅] 2351
4782 초백주[椒柏酒] ~ 초벽도[楚璧盜] ~ 초복록[蕉覆鹿] 2351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