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진계유[陳繼儒] ~ 진고[眞誥] ~ 진공차락장송고[陳公差樂張竦苦]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795  

진계유[陳繼儒] () 나라 사람. 호는 미공(眉公). 어려서부터 영오하고 문장에 능하여 그 명성이 동기창(董其昌)과 막상막하였고, 왕세정(王世貞)으로부터도 매우 인정을 받았다. 후에는 오직 저술에만 몰두하여 경사제자(經史諸子)는 물론, 술기(術伎패관(稗官)과 노·(老佛)의 설에 이르기까지 그 모두를 비교 핵실하였으며, 심지어 쇄언(瑣言) 벽사(僻事)에 이르러서도 그를 모두 추려 기록으로 남겨 이른바 진미공정정비급(陳眉公訂正祕笈)이라는 총서(叢書)를 내놓기에 이르렀음. <明史 卷二百九十八>

진계유[陳繼儒] ()는 중순(仲醇)이며 호()는 미공(眉公), 또는 미공(麋公)이라 하며 송강 화정(松江華亭: 지금의 상해시 송강현) 사람이다. 제생(諸生)으로 후에 장기간 은거하였다. 여러 차례 어명을 받아 등용되었으나 모두 병을 핑계로 사양하였다. 시문(詩文)에 뛰어났으며, 단한(短翰)과 소사(小詞) 모두 풍취가 지극하였다. 서예는 소식(蘇軾)과 미불(米芾)을 본받았으며 회화에도 뛰어났다. 저술이 풍부하여 그 당시 이름을 날렸다. 그 역시 희곡  소설을 중시하여 당서연의(唐書演義), 열국지전(列國志傳), 동서양진연의(東西兩晋演義) 등 다수의 소설을 비평하였다. 미공전집(眉公全集)이 있다.

진고[眞誥] 도교의 책이름으로 양나라 도홍경(陶弘景)이 지었으며 20권이다. 여기에서는 도교경전을 널리 가리킨다.

진공[晉公] 당 헌종(唐憲宗) 때 현상(賢相) 배도(裵度)의 봉호(封號)이다.

진공[眞空] 불교 용어로서 일체의 실상(實相)은 다 공허(空虛)하다는 데서 온 말이다.

진공[眞空] 불교의 용어로, 일체의 색상(色相)과 의식을 초월한 진실된 경지를 가리킨다.

진공자[晉公子] 진 공자는 춘추 시대 오패(五霸)의 하나인 문공(文公)을 가리킨다.

진공차락장송고[陳公差樂張竦苦] 진공은 한()나라 때 진준(陳遵)을 말하고, 장송(張竦)은 곧 진준의 친구이다. 이들은 친구 사이였지만, 진준은 무척 호방한 성격으로 술을 매우 좋아하였고, 장송은 매우 법도 있는 선비였으므로, 진준이 장송에게 자네는 몸을 괴롭게 해가며 조신을 하지만, 나는 예법에 구애하지 않고 마음대로 술 마시고 놀며 즐기니, 내가 낫지 않는가.”고 조롱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卷九十二 陳遵傳>

 

 



번호 제     목 조회
4757 원노산[元魯山] ~ 원도[原道] ~ 원도주[元道州] 2419
4756 일두양[一頭讓] ~ 일두혈심[一斗血心] ~ 일마도강[一馬渡江] 2420
4755 보장[保障] ~ 보정[報政] ~ 보정귀전지[寶鼎貴顚趾] 2424
4754 이군진자하[離群眞子夏] ~ 이궁각도[離宮閣道] ~ 이궁환우[移宮換羽] 2424
4753 보산[寶山] ~ 보서삼조[報書三鳥] ~ 보시[布施] 2426
4752 상참[常參] ~ 상채[上蔡] ~ 상채응[上蔡鷹] 2426
4751 서[序] ~ 서가조[犀可照] ~ 서가지폐[徐家之肺] 2426
4750 인가문적루[隣家聞笛淚] ~ 인가적[隣家笛] ~ 인각도형[麟閣圖形] 2427
4749 창귀[倀鬼] ~ 창낭고설가[滄浪鼓枻歌] ~ 창두군[蒼頭軍] 2427
4748 참지흑서약[叅之黑黍龠] ~ 참진사[斬秦蛇] ~ 참최복[斬衰服] 2432
4747 원결[寃結] ~ 원경[圓鏡] ~ 원공[猿公] 2437
4746 병사[甁史] ~ 병사지야[兵死之也] ~ 병상여[病相如] 2438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