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책책[嘖嘖] ~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 ~ 처성자옥[妻城子獄]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258  

책책[嘖嘖] 시끄럽게 떠드는 모양, 언쟁하는 모양, 사람이 이러쿵저러쿵 시끄럽게 평판하는 모양, 새 우는 소리.

책책[策策] 오동잎에 바람이 스치는 소리.

책훈[策勳] 공훈(功勳)을 기록하여 책()에 올리는 것.

[] 차고 쓸쓸하다.

처간[處干] 고려 때의 소작민을 일컫던 말.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 집에 불이 나서 온통 타들어오는데 당 위에 집을 짓고 있는 제비는 알지 못하고 어리석게 지저귄다 하여 불쌍하다는 것이니, 이것은 반역자가 곧 그 제비의 신세가 될 것이나 알지 못하고 여전이 뽐낸다는 뜻이다.

처량부복[凄涼賦鵩] () 나라 때 가의(賈誼)가 장사(長沙)로 폄척된 뒤 복조(鵩鳥)가 집에 날아와 앉자, 불길한 조짐이라 여겨 이를 비관하여 복조부를 짓고 과연 그곳에서 죽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처비일조[萋斐日組] 참소하는 소인(小人)이 남의 조그만 허물을 가지고 꾸며서 큰 죄를 만들거나, 분명하지 않은 일을 자꾸 부각시켜 사실로 만들어 해치는 것을 말한다. <詩經 小雅 巷伯>

처사[處士] 국화를 의인화(擬人化)하여 말한 것이다. <花史>

처성자옥[妻城子獄] 아내의 성과 자식의 감옥에 갇혀 있다. 처자(妻子)가 있는 사람은 집안일에 완전히 얽매여서 다른 일에 꼼짝도 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817 태계[台階]~태공[太公]~태공망[太公望] ~태공병법[太公兵法] 2154
4816 용구[龍龜] ~ 용귀진연구[龍歸晉淵舊] ~ 용기[龍氣] 2156
4815 노기복력[老驥伏櫪] ~ 노기읍[路岐泣] ~ 노남[魯男] 2158
4814 내가[內家] ~ 내각시[內各氏] ~ 내경경[內景經] 2159
4813 안유자손[安遺子孫] ~ 안이[顔異] ~ 안인한[安仁恨] 2160
4812 초생당[草生塘] ~ 초생옥소[焦生屋燒] ~ 초선두무출[貂蟬兜鍪出] 2161
4811 화제[花蹄]~화제[火帝]~ 화제[火齊]~화조[火棗]~화조월석[花朝月夕]~화종구생[禍從口生] 2163
4810 유로[兪盧] ~ 유로수반계[有路須攀桂] ~ 유룡[猶龍] 2166
4809 사롱[紗籠] ~ 사롱정호[紗籠正護] ~ 사롱호상인[紗籠護像人] 2168
4808 척강조석망[陟岡朝夕望] ~ 척강좌우[陟降左右] ~ 척금인[擲金人] 2169
4807 초객대상강[楚客對湘江] ~ 초객연패[楚客捐佩] ~ 초객풍림제원자[楚客楓林題怨字] 2169
4806 문자[文子] ~ 문자음[文字飮] ~ 문자주[問字酒] 217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