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팔교[八敎]~팔극[八極]~팔기[八旗]~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1,559  

팔교[八敎] 기자(箕子)가 지었다고 하는 고조선의 법률인 범금팔조(犯禁八條)를 말한다. 고조선에는 일찍부터 8개의 금법(禁法)이 있어 각종 범죄를 처벌하였는데, 그 가운데 현재 사람을 죽인 자는 죽인다[相殺償以命], 사람을 상하게 한 자는 곡물로 보상한다[相傷以穀償], 남의 물건을 훔친 자는 그 집의 노비로 삼는다[相盜者沒爲其家奴婢]’3개 조항만이 전하고 나머지는 전하지 않는다.

팔교[八敎] 팔교는 천태종(天台宗)의 화의(化儀) 4교와 화법(化法) 4교를 합하여 말한 것이다.

팔구[八區] 팔방(八方)의 밖으로 천하를 가리킨다.

팔구탄흉중[八九呑胸中] 가슴에 운몽(雲夢) 팔구(八九)쯤은 삼킨다는 말이 있으며, 그것은 기개가 장하고 가슴이 넓다는 말이다.

팔극[八極] 팔방(八方)의 끝으로 우주(宇宙)를 말한다.

팔기[八旗] () 나라 태조(太祖) , 정해진 병제(兵制)인 팔기병(八旗兵)을 가리킨다. 청 나라의 병제에 우익(右翼)에는 정황(正黃)정백(正白)정홍(正紅)정람(正藍) 색깔의 기를, 좌익(左翼)에는 양황(鑲黃)양백(鑲白)양홍(鑲紅)양람(鑲藍) 색깔의 기를 단다. <淸會典 八旗都統>

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 나라 말 유방(劉邦)과 항우(項羽)가 천하를 놓고 서로 다툴 때 역이기(酈食其)가 유방에게 육국(六國)의 후대를 세워 함께 항우를 공격할 것을 건의하였다. 유방은 때마침 밥을 먹는 중이었는데 장량(張良)이 들어와 그 이야기를 듣고 유방이 들고 있는 젓가락을 달라고 하여 땅바닥에 그려가며 여덟 가지의 곤란한 이유를 설명하자, 유방은 먹던 밥을 토하고 역이기를 크게 꾸짖었다는 데서 나온 것으로, 조정에서 국가를 위한 절묘한 계책을 세우는 것을 뜻한다. <漢書 卷四十 張良傳>

 

 



번호 제     목 조회
5057 포옹장인[抱甕丈人]~포옹한음[抱甕漢陰]~포용도[包龍圖]~포육천교[飽肉天驕] 1498
5056 포옥삼련월[抱玉三連刖]~포옹[逋翁]~포옹구망구[抱瓮久忘劬] 1796
5055 포어불구조룡취[鮑魚不救祖龍臭]~포어석[鮑魚石]~포연[酺宴] 1496
5054 포식난의[飽食暖衣]~포신구화[抱薪救火]~포양[蒲楊] 1587
5053 팔대쇠[八代衰]~팔대수[八大藪]~팔두문장[八斗文章]~팔룡운전[八龍雲篆] 1510
5052 팔교[八敎]~팔극[八極]~팔기[八旗]~팔난전저책[八難前箸策] 1560
5051 팔고[八苦]~팔공[八公]~팔관[八關]~팔괘[八卦]~팔굉[八紘] 1414
5050 판향[瓣香]~판향배[瓣香拜]~팔개[八凱]~팔결문[八結文] 1600
5049 판동[板桐]~판별방[辦別房]~판여[板輿]~판여오[板輿娛] 1462
5048 파파[派派]~파행[跛行]~파협원명[巴峽猿鳴]~파호위준[破瓠爲樽] 1662
5047 파창[巴唱]~파천황[破天荒]~파체서[破軆書]~파투[巴渝] 1696
5046 파자국[巴子國]~파적[破的]~파주위선[把酒爲船]~파죽지세[破竹之勢] 1649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