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무릉유초[茂陵遺草] ~ 무릉제주[茂陸題柱] ~ 무리간화[霧裡看花]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38  

♞ 무릉유초[茂陵遺草] 한(漢) 나라의 사마상여(司馬相如)가 남긴 봉선(封禪)에 대한 글을 말한다. 상여가 병이 들어 효문원 영(孝文園令)을 그만두고 무릉(茂陵)에서 여생을 보냈으므로, 상여의 별칭으로 보통 무릉을 쓰게 되었다. 그가 죽고 난 뒤에 한 무제(漢武帝)가 사신을 보내 그의 저술을 모두 가져오게 하였는데, 오직 황제에게 봉선(封禪)하기를 권하는 글 한 편만이 남아 있었다는 고사가 전한다. <史記 卷117 司馬相如列傳>

♞ 무릉인의운운대[茂陵仁義云云對] 무릉(茂陵)은 한무제(漢武帝)이다. 무제가 조정에서 여러 신하들에게 “내가 이러이러하려 한다.”라 하니, 급암(汲黯)이 나서며 “폐하께서 안으로는 욕심이 많으면서 경으로 인의(仁義)를 베풀려 하시니 어찌 요순(堯舜)이 정치를 본받으려 하십니까.”라고 하였다.

♞ 무릉제주[茂陸題柱] 무릉은 한(漢) 나라 사마상여(司馬相如)가 만년(晩年)에 살았던 곳으로, 이후 사마상여의 대명사로 쓰이게 되었다. 사마상여가 처음에 촉(蜀) 땅을 떠나 장안(長安)으로 향할 적에, 성도(成都)의 승선교(昇仙橋) 다리 기둥에 시를 적어 놓기를 “화려한 고관의 수레를 타지 않으면 이 다리를 건너서 돌아오지 않으리라.”라고 했던 고사가 있다. <華陽國志 蜀志>

♞ 무리간화[霧裡看花] 두보(杜甫)의 시에 “봄 물결에 배를 띄우니 하늘 위에 앉은 듯 늙은이 꽃구경이 안개 속의 그림일러라.”라고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661 병경치뢰[甁罄恥罍] ~ 병두국[幷頭菊] ~ 병롱승재물정참[病聾丞在勿停參] 2532
4660 사직[司直] ~ 사직지신[社稷之臣] ~ 사진당유조장군[寫眞儻有曹將軍] 2535
4659 무마[舞馬] ~ 무마곡[舞馬曲] ~ 무마기[巫馬期] 2536
4658 창중서[倉中鼠] ~ 창창비정색[蒼蒼非正色] ~ 창천불은노성인[蒼天不憖老成人] 2536
4657 치국여선[治國如鮮] ~ 치도[馳道] ~ 치득부서혁원추[鴟得腐鼠嚇鵷鶵] 2536
4656 당망[曭莽] ~ 당무백도아[堂無伯道兒] ~ 당반환제마[唐班煥制麻] 2538
4655 당금지지[當禁之地] ~ 당도[當道] ~ 당도[唐都] 2539
4654 무릉유초[茂陵遺草] ~ 무릉제주[茂陸題柱] ~ 무리간화[霧裡看花] 2539
4653 수수방관[袖手傍觀] ~ 수숙빈교의[嫂叔貧交誼] ~ 수식태평연제력[誰識太平緣帝力] 2540
4652 양미[揚眉] ~ 양반아[楊叛兒] ~ 양방사[兩牓士] 2540
4651 양상객[梁上客] ~ 양상도회[梁上塗灰] ~ 양생읍로기[楊生泣路歧] 2540
4650 은전[銀錢] ~ 은정조갱[殷鼎調羹] ~ 은정화염[殷鼎和塩] 254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