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양미[揚眉] ~ 양반아[楊叛兒] ~ 양방사[兩牓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23  

양문군[陽文君] 초경양왕(楚頃襄王)의 동생이다.

양미[揚眉] 양미는 두 눈썹을 갑자기 치켜올리는 것. 선종(禪宗)에서 학인을 제접(提接)할 때 쓰는 일종의 선기(禪機)이다.

양미목격[揚眉目擊] 공자(孔子)가 온백설자(溫伯雪子)를 만나서 말을 하지 않으므로, 자로(子路)가 묻기를 온백설자를 만난 지가 오래인데, 만나서는 말씀이 없으시니 무슨 까닭입니까.”라 하니, 답하기를 이런 사람은 만난 것만으로도 도()가 있는데, 소리를 내어 말을 할 필요가 없다.”라고 하였다.

양반아[楊叛兒] 이 노래의 옛 가사는, 남제(南齊) 때 여무(女巫)의 아들 양민(楊旻)이 자기 어미를 따라 궁중(宮中)을 드나들다가 하후(何后)에게 총애를 받은 사실을 기롱한 동요(童謠)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 곡명은 양파아(楊婆兒)였는데, 말이 와전되어 양반아가 된 것이라 한다.

양방사[兩牓士] 당나라 양사복(楊嗣復)이 과거에 시관(試官)이 되었을 때에, 마침 그의 아버지 양오릉(楊於陵)이 지방관(地方官)으로 입조(入朝)하였으므로, 급제한 문생(門生)들을 거느리고 나가서 영접하고 그의 집에서 잔치를 하는데, 오릉은 당상(堂上)에 앉고 사복(嗣復)은 여러 문생과 함께 양편에 앉았었다. 전일에 오릉이 절동관찰사(浙東觀察使) 이사명(李師命)을 급제시킨 일이 있었는데 이 때에 그가 같이 있었다. 사람들이 양씨(楊氏)의 상하 문생(門生)이라 칭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661 무마[舞馬] ~ 무마곡[舞馬曲] ~ 무마기[巫馬期] 2518
4660 채란[采蘭] ~ 채란시[採蘭詩] ~ 채륜[蔡倫] 2521
4659 엄자산[崦嵫山] ~ 엄중굉변[淹中宏辯] ~ 엄중적[淹中籍] 2522
4658 민련[愍憐] ~ 민산택[岷山宅] ~ 민식[閔湜] 2523
4657 사직[司直] ~ 사직지신[社稷之臣] ~ 사진당유조장군[寫眞儻有曹將軍] 2523
4656 비백[飛白] ~ 비봉[批鳳] ~ 비비[非非] 2524
4655 양미[揚眉] ~ 양반아[楊叛兒] ~ 양방사[兩牓士] 2524
4654 우선[藕船] ~ 우선[于仙] ~ 우수[愚叟] 2525
4653 은전[銀錢] ~ 은정조갱[殷鼎調羹] ~ 은정화염[殷鼎和塩] 2525
4652 초자불성무협몽[楚子不成巫峽夢]~ 초장록[蕉藏鹿] ~ 초재진용[楚材晉用] 2525
4651 당망[曭莽] ~ 당무백도아[堂無伯道兒] ~ 당반환제마[唐班煥制麻] 2526
4650 무릉유초[茂陵遺草] ~ 무릉제주[茂陸題柱] ~ 무리간화[霧裡看花] 2527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