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반생[班生] ~ 반생불자각[半生不自覺] ~ 반생투필[班生投筆]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12  

반생[班生] 반생은 서역(西域)30년 동안이나 진수(鎭守)하여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진 한() 나라의 장군 반초(班超)를 가리킨다.

반생[潘生] () 나라의 문장가 반악(潘岳)으로, 하양 영(河陽令)을 거쳐 급사황문시랑(給事黃門侍郞)을 전전하였다. <晉書 卷55>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官序潘生拙 才名賈傅多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20 秋日寄題鄭監湖上亭>

반생랑서[半生郞署] () 나라 때 연로(年老)하도록 중랑서장(中郞署長)으로 있었던 풍당(馮唐)을 말하는데, 사람의 기구한 운명을 뜻한다.

반생반사[半生半死] 반쯤은 살아 있고 반쯤은 죽어 있다는 데서, 거의 죽게 되어서 죽을는지 살는지 알 수 없는 지경(地境)에 이름을 말한다.

반생불자각[半生不自覺] 법화경(法華經)어떤 장자가 아들의 옷에 값을 따질 수 없는 매우 귀한 보배 구슬을 넣어 주었는데, 이 아들이 이 사실을 모르고 구걸하며 다녔다.’는 이야기가 있다.

반생지[班生志] 후한(後漢) 반초(班超)가 붓을 잡고 베껴 쓰는 일을 하며 모친을 봉양하다가 대장부라면 부개자(傅介子)나 장건(張騫)처럼 이역(異域)에 나가서라도 공을 세워 제후(諸侯)가 되어야 마땅하지, 어찌 붓만 잡고서 긴 세월을 그냥 보내서야 되겠는가.”라 하고는 마침내 서역(西域)에 사신으로 나가 큰 공을 세운 뒤 정원후(定遠侯)로 봉해진 고사가 있다. <東觀漢記 班超>

반생투필[班生投筆] 후한(後漢) 때의 장수 반초(班超)가 관청의 대서(代書) 일을 하며 가난한 살림을 꾸려 나가다가 붓을 던지며 탄식하기를 대장부가 별다른 지략(智略)이 없으면, 그래도 부개자(傅介子)나 장건(張鶱)처럼 이역(異域)에서 공을 세워 봉후(封侯)가 된 일이라도 본받아야 할 것이다.”라 하고는 마침내 서역(西域)의 사신으로 가 큰 공을 세워 정원후(定遠侯)에 봉해졌던 고사가 있다. <後漢書 班超傳>

 

 



번호 제     목 조회
4565 용정[龍庭] ~ 용정점[龍睛點] ~ 용졸존도[用拙存道] 2605
4564 기사[機事] ~ 기사득사[祈死得死] ~ 기사회생[起死回生] 2606
4563 상여피염파[相如避廉頗] ~ 상여함궐계[相如銜橛戒] ~ 상영산뢰[顙映山罍] 2606
4562 상구씨[爽九氏] ~ 상구어산풍[上九於山風] ~ 상국홍[上國洪] 2608
4561 유생사천녀[柳生祠天女] ~ 유생절교[劉生絶交] ~ 유서무릉구[遺書茂陵求] 2608
4560 봉래천[蓬萊淺] ~ 봉래풍악[蓬萊楓岳] ~ 봉류[封留] 2609
4559 부노피은영[負弩被恩榮] ~ 부당책[斧撞責] ~ 부동심[不動心] 2609
4558 상주[桑洲] ~ 상주유치순[桑疇有雉馴] ~ 상중환[桑中鐶] 2609
4557 연계[蓮界] ~ 연곡사온율[燕谷思溫律] ~ 연공필[燕公筆] 2609
4556 반야주이학[半夜舟移壑] ~ 반양[班揚] ~ 반엄[半掩] 2610
4555 반간[反間] ~ 반경[半鏡] ~ 반경환원[半鏡還圓] 2613
4554 반생[班生] ~ 반생불자각[半生不自覺] ~ 반생투필[班生投筆] 2613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