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발형도[發硎刀] ~ 발호자[拔虎髭] ~ 발휘[發揮]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38  

발형도[發硎刀] 새로 숫돌에 간 칼날은 소를 잡는 데에 더욱 여유만만하다는 데서 온 말로, 뛰어난 재능을 비유한 말이다.

발혜[勃磎] 마음속에 일어나는 천리(天理)와 인욕(人慾)의 갈등을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 외물(外物)방 안에 빈 곳이 없으면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다투게 되고, 마음이 자연의 경지에 노닐지 못하면 온갖 욕정이 갈등을 빚게 된다[室無虛空 則婦姑勃磎 心無天遊 則大鑿相攘]”라는 말이 있고, 또 송유(宋儒)인 여대림(呂大臨)극기명(克己銘)’사욕을 이기지 못하면, 내 마음속의 공간을 군색하게 하여, 마치 며느리와 시어머니가 갈등을 빚는 것처럼 만들 것이니, 그 나머지야 취할 것이 뭐가 있겠는가[方其未克 窘吾室廬 婦姑勃磎 安取厥餘]”라는 말이 있다.

발호[跋扈] 제멋대로 난폭하게 구는 것. 제 마음대로 날뛰며 행동하는 것. 작은 물고기들은 통발에 남지만, 큰 물고기들은 그것을 뛰어넘어 도망쳐버리듯 제 마음내키는 대로 행동하는 것이나 아랫사람이 권력을 휘둘러 윗사람을 벌하는 것을 이른다.

발호자[拔虎髭] 옛날 신선이었던 정사원(鄭思遠)이 항상 호랑이를 타고 다녔는데, 수염 몇 개를 뽑아서 친구인 허은(許隱)에게 주어 치통(齒痛)을 치료하였다 한다. <酉陽雜俎>

발호장군[跋扈將軍] 폭풍을 의미한다.

발화[潑火] 한식절(寒食節)을 뜻한다. 옛날 풍속에 한식절에는 불을 금하였는데, 이 때에 내리는 비를 발화우(潑火雨)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발화우[潑火雨] 청명절(淸明節) 무렵에 내리는 도화우(桃花雨)를 달리 이른 말이다.

발휘[發揮] 깊이 숨어있는 것을 파헤쳐 겉으로 나타냄을 이른다. 주역(周易) 건괘(乾卦)의 문언(文言)육효(六爻)가 발휘(發揮)한 것은 겉으로 만물의 정실을 밝힘이요[六爻發揮 旁通情也]”라 하였다.

 

 



번호 제     목 조회
4409 문장자속궁수사[文章自屬窮愁事] ~ 문장정종[文章正宗] ~ 문전여노가인원[門前茹蘆佳人遠] 2733
4408 동화[東華] ~ 동화문[東華門] ~ 동화잠신[東華簪紳] 2735
4407 수부삽주[繡鳧鈒舟] ~ 수부천활[樹浮天濶] ~ 수부흥[水部興] 2735
4406 신교[神交] ~ 신교유복호[神交游濮濠] ~ 신국풍첨독서의[信國風簷讀書意] 2735
4405 분대[分臺] ~ 분락[汾樂] ~ 분민치[分澠淄] 2736
4404 설생련[舌生蓮] ~ 설석회자유[雪夕懷子猷] ~ 설설[屑屑] 2736
4403 문질부동[文質不同] ~ 문창[文昌] ~ 문창후[文昌侯] 2738
4402 양학동몽[羊鶴氃氋] ~ 양해[梁海] ~ 양형[楊炯] 2738
4401 문성[文星] ~ 문성공[文成公] ~ 문속[問俗] 2739
4400 반령[潘令] ~ 반룡[攀龍] ~ 반린부익[攀鱗附翼] 2739
4399 발형도[發硎刀] ~ 발호자[拔虎髭] ~ 발휘[發揮] 2739
4398 비강[粃糠] ~ 비격우모망[飛檄羽毛忙] ~ 비결발호[秘訣發瓠] 2739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