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서씨적[徐氏迹] ~ 서악정사[西岳精舍] ~ 서암한로[瑞巖閒老]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12  

서씨적[徐氏迹] () 나라의 방사(方士) 서불(徐巿)이 시황(始皇)을 위하여 삼신산(三神山)의 불사약을 구하려고 동남동녀(童男童女) 5백 명을 거느리고 떠나간 채 뒷 소식을 모르는데, 전설에 그가 일본에 가 살았다 한다. 특히 화가산(和歌山 와카야마) 지방에 서불사[徐巿祠]가 있었다 한다.

서아습[棲鴉濕] 까마귀는 검은 빛을 뜻하므로, 즉 문서를 기록할 적에 먹물이 종이에 젖는 것을 이른 말이다.

서악서원[西岳書院] 경주에 있는 서원으로, 명종(明宗) 때 귀암(龜巖) 이정(李楨)에 의해 세워졌다.

서악정사[西岳精舍] 경주(慶州)의 서악정사(西岳精舍)를 가리킨다. 홍유후(弘儒侯) 설총(薛聰)과 문창후(文昌侯) 최치원(崔致遠)과 각간(角干) 김유신(金庾信)을 향사(享祀)하는 곳으로, 명종(明宗) 16(1561)에 세워졌다.

서암승[瑞巖僧] 마음 수양(修養)하는 것을 뜻한다. 주희(朱熹)가 이르기를 서암(瑞巖)의 중[]은 매일 항상 스스로 자신에게 묻기를 주인옹(主人翁)은 성성(惺惺)하는가?’라 하고, 또 스스로 답하기를, ‘성성하노라.’라고 하였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心經 卷一>

서암한로[瑞巖閒老] 주희(朱熹)가 이르기를 서암(瑞巖)의 중[]은 매일 항상 스스로 자신에게 묻기를 주인옹(主人翁)은 성성(惺惺)하는가?’라 하고, 또 스스로 답하기를 성성하노라.’고 하였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心經 卷一>

 

 



번호 제     목 조회
4445 사절[使節] ~ 사제[蜡祭] ~ 사제갈주생중달[死諸葛走生仲達] 2712
4444 시편욕보망[詩篇欲補亡] ~ 시표[詩瓢] ~ 시한상[示韓湘] 2712
4443 아사[餓死] ~ 아성분월기[俄成奔月期] ~ 아세[亞歲] 2712
4442 봉릉[鳳綾] ~ 봉마공장[蓬麻共長] ~ 봉마토사상전도[蓬麻兎絲相顚倒] 2713
4441 서씨적[徐氏迹] ~ 서악정사[西岳精舍] ~ 서암한로[瑞巖閒老] 2713
4440 사종[思宗] ~ 사종곤슬유[嗣宗褌蝨喩] ~ 사종현우[四從賢友] 2714
4439 연잔마[戀棧馬] ~ 연전[硯田] ~ 연전혜소[輦前嵆紹] 2714
4438 내사[內史] ~ 내사유상불계진[內史流觴祓稧辰] ~ 내사황감[內史黃甘] 2717
4437 반순비[反脣狒] ~ 반식재상[伴食宰相] ~ 반씨천방[潘氏千房] 2718
4436 봉태[逢殆] ~ 봉해천[蓬海淺] ~ 봉혜하덕쇠[鳳兮何德衰] 2718
4435 완남[阮南] ~ 완대[緩帶] ~ 완동[阮洞] 2718
4434 서우[瑞羽] ~ 서원[西園] ~ 서유[徐孺] 2722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