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군진자하[離群眞子夏] ~ 이궁각도[離宮閣道] ~ 이궁환우[移宮換羽]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28  

이군중[李君重] 군중은 이성임(李聖任)의 자()이다. 이성임이 이때 성절사(聖節使)의 서장관으로 명() 나라에 갔다.

이군진자하[離群眞子夏] 친구와 헤어져 있으니 참으로 봉사가 되었다는 뜻. 공자의 제자 자하가 아들을 잃고 몹시 슬퍼하여 눈이 멀었다. 동문인 증자(曾子)가 찾아가 조문하자, 자하는 울면서 하늘은 무심도하다. 나는 죄를 짓지 않았는데.”라고 하였다. 증자는 성을 내면서 그의 잘못을 하나하나 말하자, 자하는 상장(喪杖)을 던지고는 절하면서 내가 잘못했소. 내가 잘못했소. 이는 내가 오랫동안 친구들과 헤어져 외로이 있었기 때문이오.”라고 사과하였다. <禮記 檀弓上>

이궁[離宮] 이궁은 임금이 출유(出遊)할 때 거하는 별궁(別宮)으로, () 나라 반고(班固)의 서도부(西都賦)離宮別館 三十六所라는 말이 나온다.

이궁[離宮] 정전(正殿) 외에 임금이 거주하는 궁실이다.

이궁각도[離宮閣道] 진 시황(秦始皇)의 전전(前殿)인 아방궁(阿房宮)은 그 규모가 동서로 5백 보()가 되고, 남북은 50()이나 되어 그 위에 사람 1만 명이 앉을 수가 있었고, 두루 복도를 놓아 궁전 아래서 곧바로 남산(南山)에 다다를 수 있게 꾸몄다. <史記 秦始皇本紀>

이궁환우[移宮換羽] 삼국 시대(三國時代)에 주유(周瑜)는 풍채 좋은 미남자요, 음률을 잘 알아서 길을 가다가도 음률이 그릇된 것이 있으면 반드시 한번 돌아보니, 미인들이 그의 돌아보기를 원하여 일부러 곡조를 그릇 탔다 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433 이도위[李都尉] ~ 이동욱[李東郁] ~ 이동제지마[異同齊指馬] 3332
4432 이도련갑자[泥塗憐甲子] ~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 이도예미[泥塗曳尾] 3216
4431 이대례[二戴禮] ~ 이덕보원[以德報怨] ~ 이덕판서[李德判書] 3231
4430 이니[泥泥] ~ 이당[李唐] ~ 이대[鯉對] 2715
4429 이남관기편[二南冠基篇] ~ 이노백고지[狸奴白牯知] ~ 이능송백벽연면[二陵松柏碧連綿] 4876
4428 이기발형신[利器發硎新] ~ 이기체[移氣體] ~ 이난별학[離鸞別鶴] 2582
4427 이금[泥金] ~ 이금오[李金吾] ~ 이기[李寄] 2456
4426 이궐[伊闕] ~ 이궤[二簋] ~ 이귀[泥龜] 3308
4425 이군진자하[離群眞子夏] ~ 이궁각도[離宮閣道] ~ 이궁환우[移宮換羽] 2429
4424 이구생[履龜生] ~ 이구일곡[驪駒一曲] ~ 이군삭거[離群索居] 2726
4423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318
4422 이광[李廣] ~ 이광금비한[李廣今飛漢] ~ 이괘[頤卦] 3938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