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이궐[伊闕] ~ 이궤[二簋] ~ 이귀[泥龜]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308  

이궐[伊闕] 이궐새(伊闕塞)를 말한다.지금의 하남성 낙양의 남쪽에 있으며 두 산봉우리가 이수(易水)를 사이에 두고 마주하고 있어 마치 궁궐과 같이 보인다고 해서 이궐이라 했다. 기원전 293년 진나라의 백기(白起)가 한위(韓魏) 두 나라의 연합군을 이 곳에서 격파하고 그 군사 24만을 참수했다. 후에 용문(龍門)이라고 했으며 유명한 용문석굴(龍門石窟)이 있는 곳이다.

이궤[二簋] ()와 직()을 담는 두 제기(祭器)를 말하는데, 전하여 성경(誠敬)의 마음이 극진하면 이궤의 박한 제수일지라도 신()에게 제사할 수 있음을 뜻한다. 주역(周易) 손괘(損卦)이궤로도 신에게 드릴 수 있다.[二簋可用享]”라고 하였다.

이귀[泥龜] 은자(隱者)를 비유한 말이다. 장자(莊子) 추수(秋水) 편에 이 거북은 죽어서 뼈를 남겨 귀하게 되는 것보다 차라리 진흙 속에 꼬리를 끌며 사는 것을 좋아한다.”는 말이 있음.

이귀암[李龜巖] 귀암은 이정(李楨)이다. 이정은 성리학에 밝아서 이황과 교유하였으며, 사천(泗川)에 정사(精舍)를 짓고 후학을 가르쳤다.

이규보[李奎報] 고려 숙종 때 사람. 자는 춘경(春卿). 호는 지헌(止軒) 또는 백운거사(白雲居士). 본관은 여주. 문하시랑평장사(門下侍郞平章事)를 거쳐 태자태보(太子太保)가 되었다. 기개가 있고 강직한 성품으로 인중룡(人中龍)의 경가를 들었다. 호탕 활달한 시풍(詩風)으로 당대를 풍미했고 2천 수가 넘는 시를 남겼다. 저서에는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이 있다. 시호는 문순(文順).

이극[李克] 전국 시대 위() 나라 문후(文侯)의 신하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433 이도위[李都尉] ~ 이동욱[李東郁] ~ 이동제지마[異同齊指馬] 3333
4432 이도련갑자[泥塗憐甲子] ~ 이도살삼사[二桃殺三士] ~ 이도예미[泥塗曳尾] 3216
4431 이대례[二戴禮] ~ 이덕보원[以德報怨] ~ 이덕판서[李德判書] 3232
4430 이니[泥泥] ~ 이당[李唐] ~ 이대[鯉對] 2715
4429 이남관기편[二南冠基篇] ~ 이노백고지[狸奴白牯知] ~ 이능송백벽연면[二陵松柏碧連綿] 4876
4428 이기발형신[利器發硎新] ~ 이기체[移氣體] ~ 이난별학[離鸞別鶴] 2582
4427 이금[泥金] ~ 이금오[李金吾] ~ 이기[李寄] 2456
4426 이궐[伊闕] ~ 이궤[二簋] ~ 이귀[泥龜] 3309
4425 이군진자하[離群眞子夏] ~ 이궁각도[離宮閣道] ~ 이궁환우[移宮換羽] 2429
4424 이구생[履龜生] ~ 이구일곡[驪駒一曲] ~ 이군삭거[離群索居] 2727
4423 이교서[圯橋書] ~ 이구[履龜] ~ 이구동성[異口同聲] 2318
4422 이광[李廣] ~ 이광금비한[李廣今飛漢] ~ 이괘[頤卦] 3938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