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일빈신[一嚬申] ~ 일사족가왕[一士足可王] ~ 일상풍우[一牀風雨]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639  

일빈신[一嚬申] 얼굴을 찌푸리며 신음하는 소리이다. 이백의 명고가(鳴皐歌)寡鶴淸唳 飢鼯嚬申이라 했다.

일사부괘[一絲] 낚싯줄에 걸리지 않는 물고기라는 뜻으로, 진속(塵俗)에 이끌림을 당하면 안 된다는 비유로 곧잘 쓰는 선가(禪家)의 용어이다. <景德傳燈錄 南泉禪師>

일사불란[一絲不亂] 한 타래의 실이 전혀 엉클어지지 않았다는 데서, 질서정연(秩序整然)하여 조금도 어지러움이 없음을 말한다.

일사족가왕[一士足可王] () 나라 한유(韓愈)의 제전횡묘문(祭田橫墓文)() 나라가 망할 때를 당하여 한 명의 선비만 있어도 천하에 왕노릇 할 수 있었는데, 어찌 5백 명이나 되는 많은 사람으로서 부자(夫子; 전횡)를 칼끝에서 벗어나게 하지 못하였나.[當秦氏之敗亂 得一士而可王 何五百人之擾擾 而不能脫夫子於劍鋩]”라고 하였다. <韓昌黎集 卷二十二>

일사천리[一瀉千里] 강물의 수세(水勢)가 빨라서 한 번 흘러 천 리 밖에 다다름. 어떤 일이 조금도 거침없이 빨리 진행됨. 문장(文章)이나 구변(口辯)이 거침이 없음을 이른다.

일상풍우[一牀風雨] 오래 떨어져 있다가 반갑게 다시 만나 함께 거처하며 교분을 나누는 것을 말한다. () 나라 위응물(韋應物)시전진원상(示全眞元常)’이라는 시에 어찌 알았으랴 눈보라 치는 이 한밤에, 이렇게 다시 만나 한 침상에 잠들 줄을.[寧知風雪夜 復此對牀眠]”이라는 시구에서 비롯된 것이다.

 

 



번호 제     목 조회
749 육침[陸沈] ~ 육태식[六太息] 4632
748 착벽인광[鑿壁引光] ~ 착색산[着色山] 4634
747 고근[孤根] ~ 고기직설[皐夔稷契] 4634
746 지소적[枝掃迹] ~ 지시긍균고[知時矜菌蛄] ~ 지어지앙[池魚之殃] 4634
745 용철고비[勇撤皐比] ~ 용촌학사[榕村學士] ~ 용출부모[湧出父母] 4635
744 허격[許格] ~ 허뢰[虛籟] 4636
743 범지화[梵志華] ~ 범채지경[范蔡之傾] 4637
742 해추[海鰌] ~ 해탈[解脫] 4637
741 쌍리[雙鯉] ~ 쌍미[雙美] 4639
740 사마사[司馬師] ~ 사마온공[司馬溫公] 4640
739 일빈신[一嚬申] ~ 일사족가왕[一士足可王] ~ 일상풍우[一牀風雨] 4640
738 정절망산도[靖節望山圖] ~ 정절책자[靖節責子] 4641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