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지반[知班] ~ 지백[智伯] ~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6,975  

지반[知班] ()는 주관한다는 뜻으로 반열(班列)의 정리나 또는 그 관원을 말한다.

지발[鷙發] 포학하고 용맹한 모양을 나타내는 것이다.

지백[支伯] ()이 자주지백(子州支伯)에게 천하를 사양하니, 자주지백이 받지 않았다. <장자(莊子)>

지백[智伯] 태어난 해는 알 수 없고 기원전 453년에 죽은 춘추 말 당진국의 정경(正卿)이다. 희성(姬姓)에 원래 순씨(荀氏)였으나 후에 지() 혹은 지()로 바꾸어 지백(智伯)으로 불렀다. 진출공(晉出公) 즉위 초에 부친 지선자(智宣子)로부터 당진국의 정경이 되어 제나라와 정나라를 정벌하고 중산국을 무찔렀다. 주정왕 11년 기원전 458년 조(), (), () 삼가와 연합하여 범씨(范氏)와 중항씨(中行氏)를 멸하고 그 봉읍들을 나누어 가졌다. 이어서 출공(出公)을 쫓아내고 그의 손자 교()를 새로 세웠다. 이가 진애공(晉哀公)이다. 교만해진 지백은 당진국의 정권을 오로지하고 대신들을 모욕하는 것을 즐겼다. 후에 한위조(韓魏趙) 삼가에 봉지의 할양을 요구하여 한과 위 두 가문으로부터는 만 호에 해당하는 성읍을 빼앗았으나 조가로부터는 거절당했다. 분노한 지백이 한위 이가를 위협하여 삼가가 연합군을 결성하여 조가들의 근거지 진양성(晉陽城)을 공격했다. 3년을 공격했으나 성이 함락되지 않자 진수(晉水)의 물을 막아 진양성을 물에 잠기게 했다. 조가들의 모사(謀士) 장맹담이 한위 이가를 설득하여 반격을 가하자 지백은 잡혀 참수되고 지가는 멸족되었다. 지가를 멸한 한위조 삼가는 지가의 봉지를 포함하여 당진의 공실의 땅까지 모두 삼분하여 나라를 세움으로써 기존의 진(), (), (), () 등과 함께 전국칠웅이 되어 전국시대를 열었다. 이를 역사상 삼가분진(三家分晉)이라 한다.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지백은 지백(知伯)으로 춘추 시대 때 진() 나라 사람이며, 구유(仇猶)는 구유(仇由), 지금의 산서성(山西省) 일대에 있었던 춘추 시대 때의 소국(小國)인데, 지백에 의해 멸망되었다. <史記 卷71 樗里子甘茂列傳>

 

 



번호 제     목 조회
5345 마부위침[磨斧爲針]/마부작침[磨斧作針] 11624
5344 창랑[滄浪]/창랑곡[滄浪曲]/창량[蒼凉] 9516
5343 태산명동서일필[泰山鳴動鼠一匹] ~ 태산불양토양[泰山不讓土壤] 9266
5342 가고가하[可高可下] ~ 가관동[葭管動] ~ 가관회미양[葭琯廻微陽] 8024
5341 각곡[刻鵠] ~ 각곡유목[刻鵠類鶩] 7682
5340 지벽도무수하혜[地僻都無樹下蹊]~ 지보족[智輔族] ~ 지사불망재구학[志士不忘在溝壑] 7566
5339 행유부득반구제기[行有不得反求諸己] ~ 행장[行裝] 7529
5338 독견[獨見] ~ 독교낙아각[毒蛟落牙角] ~ 독대[獨對] 7369
5337 낙모[落帽] ~ 낙모풍[落帽風] ~ 낙모풍류[落帽風流] 7348
5336 지도인시[至道因是] ~ 지독지애[舐犢之愛] ~ 지동지서[指東指西] 7209
5335 장경오훼[長勁烏喙] 6994
5334 지반[知班] ~ 지백[智伯] ~ 지백망구유[智伯亡仇猶] 6976



 1  2  3  4  5  6  7  8  9  1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