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85  

치우[蚩尤] 별 이름인 치우기(蚩尤旗)의 준말이다.

치우[置郵] 치우는 문서와 소식을 전달하는 역참(驛站)이다.

치우[雉羽] 치우는 치우전(雉羽箭)이다.

치우[蚩尤] 황제(皇帝) 시대의 제후로서 병란을 일으키기 좋아하여 천하를 어지럽혔으므로, 황제가 정벌하여 탁록(涿鹿)에서 전투를 벌였는데, 치우가 안개를 자욱하게 일으키자 황제가 지남거(指南車)를 만들어 격파하였다 한다. <書經 呂刑 注陔餘叢考 卷19史記 五帝紀>

치우기[蚩尤旗] 혜성(彗星)과 비슷하면서 꼬리 뒷부분이 구부러져 깃발처럼 보이는데, 이 별이 보이는 지방 아래에서 병란이 크게 일어난다고 믿어 왔다. <晉書 天文志中>

치원공니[致遠恐泥] 논어(論語) 자장(子張)전문인들의 자그마한 기예들이라 할지라도 볼 만한 것이 반드시 있게 마련이나, 원대한 목표를 성취하는 데에는 장애가 될 수도 있기 때문에[致遠恐泥], 군자는 그런 일을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치원대[致遠臺] 동래(東萊) 해운대(海雲臺) 혹은 마산(馬山) 월영대(月影臺). 둘 다 최치원(崔致遠)이 놀았다는 유명한 대()이다.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면하기 어려운 관청의 사역(使投)을 용케도 벗어나 자유의 몸이 되고 싶다는 뜻의 해학적인 표현이다. 진서(晉書) 49 부함전(傅咸傳)낳은 자식이 치매(癡呆)여야만 관가의 차역(差投)을 면할 수가 있으니, 관청의 일은 아무나 그만둘 수 있는 것이 아니다.[生子癡了官事 官事未易了也]”라는 말이 나온다.

 

 



번호 제     목 조회
4709 유공진[庾公塵] ~ 유공흥[庾公興] ~ 유과[유과] 2486
4708 익자삼우[益者三友] ~ 익주몽[益州夢] ~ 익퇴조[鷁退潮] 2486
4707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2486
4706 사로[四老] ~ 사로[師魯] ~ 사로[四老] 2487
4705 석노[石砮] ~ 석두일편요강기[石頭一片搖降旗] ~ 석랑[石郞] 2487
4704 신번길방[申樊吉方] ~ 신부약[薪斧約] ~ 신비[辛毗] 2487
4703 무심가입백구군[無心可入白鷗群] ~ 무아묘[巫娥廟] ~ 무아지경[無我之境] 2490
4702 보타권[寶唾卷] ~ 보허술[步虛術] ~ 복거부[卜居賦] 2490
4701 창음[菖飮] ~ 창전혈지승[窓前穴紙蠅] ~ 창졸지간[倉卒之間] 2490
4700 만안[脕顔] ~ 만용[曼容] ~ 만용관과[曼容官過] 2493
4699 봉옥[封屋] ~ 봉우진[封于秦] ~ 봉유족[封留足] 2493
4698 성단[城旦] ~ 성도은[成都隱] ~ 성동격서[聲東擊西] 2494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