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봉옥[封屋] ~ 봉우진[封于秦] ~ 봉유족[封留足]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486  

봉옥[封屋] 임금의 교화가 사해에 두루 미쳐 풍속이 아름다워지니 집집마다 모두 덕행(德行)이 있어서 정표(旌表)할 만하다는 말이다.

봉요[蜂腰] 벌의 허리처럼 한 가운데가 가늘다는 뜻이다. 시를 지을 때 칠언시의 4번째 자가 평성(平聲)이고 그 앞뒤의 자가 측성(仄聲)인 경우 또는 오언시에 2번째 글자가 평성(平聲)이고 그 앞 뒤 자가 측성(仄聲)인 경우 허리가 짤록한 벌과 같다하여 봉요(蜂腰)라고 하며 이를 피한다.

봉우장집[鳳羽長戢] 군자(君子)가 출세(出世)하지 못함을 비유한 말이다.

봉우진[封于秦] 진시황(秦始皇)이 태산(泰山)에 갔다가 비를 만나 소나무 밑에 피하고, 그 소나무를 대부(大夫)로 봉했다.

봉원[蓬原] 동래(東萊)의 별칭이다.

봉유[封留] 전한(前漢)의 공신(功臣) 장량(張良)이 유후(留侯)에 봉해진 것을 말한다. 한고조(漢高祖)가 천하를 평정한 뒤에 공신을 봉하면서 장량에게 제()나라 땅에 삼만 호(三萬戶)되는 지방을 마음대로 선택하게 하니, 그는 신이 처음 폐하(陛下)를 유()에서 만났으니 유후(留侯)로 봉하면 족합니다.”라 하였다.

봉유족[封留足] 한 고조(漢高祖)가 천하를 평정하고 나서 공신들을 봉()할 적에, 장량(張良)의 공이 가장 크다 하여 그에게 삼만호(三萬戶)를 봉해주려고 하자, 장량이 사양하여 말하기를 ()은 유() 땅에 봉해진 것만으로 만족하고, 삼만호는 감히 당치 않습니다.”라고 하여, 마침내 장량을 유후(留侯)로 봉해준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卷五十五>

 

 



번호 제     목 조회
4709 쇄부거[碎副車] ~ 쇄산호[碎珊瑚] ~ 쇄수[碎首] 2480
4708 수사소[數斯疏] ~ 수산[守山] ~ 수산초주상헌황[首山初鑄想軒皇] 2480
4707 단연[澶淵] ~ 단연사점감[丹鉛事點勘] ~ 단요무심이[但要無心耳] 2481
4706 석노[石砮] ~ 석두일편요강기[石頭一片搖降旗] ~ 석랑[石郞] 2481
4705 치우[蚩尤] ~ 치원공니[致遠恐泥] ~ 치원대[致遠臺] ~ 치응료관사[癡應了官事] 2481
4704 신번길방[申樊吉方] ~ 신부약[薪斧約] ~ 신비[辛毗] 2483
4703 익자삼우[益者三友] ~ 익주몽[益州夢] ~ 익퇴조[鷁退潮] 2483
4702 창음[菖飮] ~ 창전혈지승[窓前穴紙蠅] ~ 창졸지간[倉卒之間] 2484
4701 보타권[寶唾卷] ~ 보허술[步虛術] ~ 복거부[卜居賦] 2487
4700 봉옥[封屋] ~ 봉우진[封于秦] ~ 봉유족[封留足] 2487
4699 무심가입백구군[無心可入白鷗群] ~ 무아묘[巫娥廟] ~ 무아지경[無我之境] 2488
4698 성단[城旦] ~ 성도은[成都隱] ~ 성동격서[聲東擊西] 2488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