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낭사결【囊沙決】한(漢)나라 한신(韓信)이 적장 용저(龍且)와 유수(濰水)를 사이에 두고 진을 쳤을 때, 밤중에 만여 개의 자루에다 모래를 담아 유수의 상류를 막은 뒤에 강 복판으로 적군을 유인하여 그 둑을 일시에 터뜨려 승리하였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史記 卷九十二 淮陰侯傳》

낭서【囊書】낭서는 봉사(封事) 즉 상서(上書)를 가리킨다.

낭선【閬仙】낭선은 당 나라 때의 시인 가도(賈島)의 호이다.

낭선【浪仙】당(唐) 나라의 시인 가도(賈島)의 자이다. 그가 고고(孤高)한 시풍으로 이름을 떨쳤다.

낭선【筤筅】창(槍)과 비슷한 무기(武器)의 한 가지이다.

낭성【琅城】낭성은 청주(淸州)의 고호이다.

낭성【郞星】낭장성. 별 이름인데, 무비(武備)를 관장한다고 한다.

낭수【狼宿】노인성(老人星)을 가리키는데, 일명 남극성(南極星)으로 장수(長壽)를 맡은 별이다.

낭아봉【狼牙棒】이리의 날카로운 이빨처럼 못을 많이 박아 놓은 창 비슷한 무기를 말한다.

낭야대【琅琊臺】중국 산동성(山東省) 해변에 있던 대(臺). 진시황(秦始皇)이 그 대를 묻고 각석기공(刻石紀功)했었다.

낭연【狼煙】낭연은 이리의 똥을 태운 연기. 이리의 똥을 태운 연기는 퍼지지 않고 똑바로 올라가므로 봉홧불로 사용하였다 하여 봉화불을 뜻한다.

낭예【浪栧】벼슬하러 가는 더러운 몸이라는 뜻이다. 은거 생활을 청산하고 벼슬길에 나선 주옹(周顒)을 비난한 공치규(孔稚珪)의 ‘북산이문(北山移文)’ 속에 “지금 주옹이 아랫고을에서 행장을 서둘러 수습하고 나와, 배를 저어 서울로 향하려 하는 판인데[今又促裝下邑 浪栧上京], 속마음은 대궐에 가 있으면서도 혹시 예전에 은거하던 이 산골 문에 슬쩍 발을 들여놓을지도 모르니, …… 청컨대 속된 선비의 수레를 돌려보내어, 산군(山君)을 위해 거짓 은자를 사절토록 하라.”는 내용이 들어 있다.

낭예부화【浪蕊浮花】낭예와 부화는 다 열매를 맺지 못하는 쓸데없는 꽃이란 뜻이다.

낭옹【浪翁】산야의 한가로운 노인.

낭옹와준【浪翁窪樽】낭옹은 원차산(元次山)의 호를 존칭한 것이요, 와준은 움푹 파여 술통처럼 생긴 자연석을 가리킨 것이다. 원차산의 와준시(窊尊詩)에 “움푹 팬 돌이 술통에 적합한데, 기괴한 그 모양 형용할 수 없구려.[窊石堪爲尊 狀類不可名]" 하였다.

낭원【閬苑】신선(神仙)이 거주하는 곳. 허작(許碏)의 시(詩)에 “낭원의 꽃 앞에서 술에 취하여 서왕모의 구하상 그릇 엎질렀네. 여러 신선들 손뼉 치며 경박함을 나무라니, 인간으로 귀양보내어 술미치광이 만들었구나.[閬苑花前是醉鄕 踏飜王母九霞觴 群仙拍手嫌輕薄 謫向人間作酒狂]" 하였다. 《神仙傳》

낭원군【朗原君】조선조 선조(宣祖)의 손자인 인흥군(仁興君)영(瑛)의 아들로 이름은 간(▣), 호는 최락당(最樂堂). 형 낭선군(郞善君)과 함께 전서(篆書)ㆍ예서(隸書)를 잘 써서 이름이 높았음. 작품에 보월사 중수비(寶月寺重修碑)ㆍ송광사사원사적비(松廣寺嗣院寺蹟碑) 등이 있음.

낭자야심【狼子野心】이리 새기는 아무리 길들여 기르려 해도 야수의 성질을 벗어나지 못한다. 본래 성질이 비뚤어진 사람은 아무리 은혜를 베풀어도 끝내는 배반한다는 비유로 쓰인다.

낭잠【郞潛】관운(官運)이 트이지 않아 오래도록 승진하지 못한 채 낭서(郞署)의 관원으로 늙어가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안사(顔駟)가 문제(文帝) 때 낭관이 된 뒤로부터 경제(景帝)를 거쳐 무제(武帝) 등 3세(世)를 역임하면서 백발이 다되도록 낭관으로 있었기 때문에, 낭관의 자리에 잠겨 있었다는 뜻으로 낭잠(郞潛)이라는 표현이 쓰이게 되었다.《漢武故事》

 

05/10/15/20/25/30/35/40/45/50/55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