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수석혹침류[漱石或枕流] ~ 수선[手線] ~ 수선첨난인[繡線添難認]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580  

수석혹침류[漱石或枕流] 자연 속에 사는 것을 말한다. () 나라 때 손초(孫楚)가 왕제(王濟)에게 돌을 베고 흐르는 물에 양치질한다[枕石漱流]’고 해야 할 것을 잘못하여 흐르는 물을 베고 돌로 양치질한다[枕流漱石]’ 하였다. 그러자 왕제가 물을 어떻게 베며 돌로 어떻게 양치질하는가?”하니, 손초가 물을 베는 것은 귀를 씻고자 함이오, 돌로 양치질하는 것은 이를 단단하게 하자는 것이다.”라 하였다고 한다.

수선[水仙] 수중(水中)의 선인(仙人)이란 뜻으로 춘추 시대 오()의 오자서(伍子胥), 또는 전국 시대 초()의 굴원(屈原)을 말하기도 한다.

수선[手線] 수중선(手中線)의 준말로, 자모(慈母)가 지어 준 옷이라는 말이다. () 나라 맹교(孟郊)가 지은 유자음(遊子吟)’자애로운 어머님 손에 실을 쥐시고서, 길 떠나는 아들 위해 옷을 지어 주시누나[慈母手中線 遊子身上衣]”라는 표현이 있다. <孟東野詩集 卷1>

수선첨난인[繡線添難認] 낮 시간이 길어지기 시작한 것을 몸으로 느끼기가 어렵다는 말이다. 궁중의 여인들이 일하는 작업의 양을 가지고 낮 시간의 장단(長短)을 가늠한 데에서 온 말로, 동지 뒤에는 점점 낮이 길어지기 때문에 바느질하는 일이 한층 더 늘어났다[添線]”고 표현한 것이다. 참고로 두보(杜甫)의 시에 刺繡五紋添弱線 吹葭六琯動飛灰라는 구절이 있다. <杜少陵詩集 卷18 小至>

 

 



번호 제     목 조회
4589 상곡[桑穀] ~ 상골[霜骨] ~ 상광[詳狂] 2578
4588 배여우[裵汝友] ~ 배유협탄자[背有挾彈子] ~ 배의제지약[背義帝之約] 2579
4587 대군[代郡] ~ 대규파금[戴逵破琴] ~ 대균[大均] 2580
4586 낙생[洛生] ~ 낙서[洛書] ~ 낙성[落星] 2581
4585 부소[膚訴] ~ 부소[扶蘇] ~ 부송영[鳧送影] 2581
4584 선반[仙班] ~ 선방[璇枋] ~ 선백약[宣伯藥] 2581
4583 수석혹침류[漱石或枕流] ~ 수선[手線] ~ 수선첨난인[繡線添難認] 2581
4582 명농[明農] ~ 명당[明堂] 2584
4581 비단유백[鼻端有白] ~ 비덕쇠[悲德衰] ~ 비동의[飛動意] 2584
4580 승사[勝事] ~ 승사욕문천손사[乘槎欲問天孫梭] ~ 승사한사[乘槎漢使] 2584
4579 명가[鳴珂] ~ 명가명비상명[名可名非常名] ~ 명검[鳴劍] 2585
4578 새원[塞垣] ~ 색공신[色功臣] ~ 색맹[色盲] 2585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