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신거[宸居] ~ 신고[神皐] ~ 신공보[申功甫]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48  

신거[宸居] 임금의 거처하는 궁중을 신()이라 한다.

신경[神京] 서울로 임금을 가리킨다.

신계부긍명[晨鷄不肯鳴] 참고로 도연명(陶淵明)의 시에 베옷 입고 긴 밤 지새우나니, 오늘은 새벽닭도 울지 않으려는 듯.[被褐守長夜 晨鷄不肯鳴]”이라는 구절이 있다. <陶淵明集 卷3 飮酒 二十首>

신고[辛苦] 괴로움.

신고[神皐] 신명(神明)의 구역을 말한다. 한서(漢書) 교사지(郊祀志)옛날부터 옹주(雍州) 지방은 지대가 높아 신명들이 모이는 곳이기 때문에 하늘에 제사하고 여러 신()에게 제사하는 사당이 많이 있다.”라고 하였다.

신고[神瞽] 천도(天道)를 알았던 옛 악정(樂正)이라고 한다.

신고송한궁[辛苦送韓窮] 살림살이의 곤궁한 것을 물리침을 말한 것으로서, 한유가 송궁문(送窮文)을 지은 데서 온 말이다.

신공[神珙] () 나라 때 서역(西域) 중으로서 사성오음구롱반뉴도(四聲五音九弄反紐圖)를 편찬하였다.

신공[申公] 신공은 일찍이 제() 나라 사람인 부구백(浮丘伯)에게서 시()를 수학했고 그 후로는 평생 집에서 후진을 양성했는데, 문하에 모인 제자가 무려 천 여명이나 되었다. 그는 나이 80이 되어서야 한 무제(漢武帝)의 부름을 받아 태중대부(太中大夫)가 되었다. <漢書 卷八十八 儒林傳>

신공보[申功甫] 공보(功甫)는 신민일(申敏一)의 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517 반함[攀檻] ~ 반형언지[班荊言志] ~ 반혼향[返魂香] 2643
4516 사자[沙觜] ~ 사자불범[師者不範] ~ 사자제[四字題] 2645
4515 우호[憂瓠] ~ 우화단[雨花壇] ~ 우화서피[虞龢舒被] 2646
4514 채모팽기[蔡謨蟛蜞] ~ 채묵[蔡墨] ~ 채미인[採薇人] 2646
4513 명례항[明禮巷] ~ 명리[明离] ~ 명막군[冥漠君] 2647
4512 백기[伯起] ~ 백기[白起] ~ 백기신[百其身] 2648
4511 북령욕[北嶺辱] ~ 북리[北里] ~ 북린[踣麟] 2648
4510 신거[宸居] ~ 신고[神皐] ~ 신공보[申功甫] 2649
4509 수견[隨肩] ~ 수결천장[手抉天章] ~ 수경[水經] 2650
4508 치사분지[治絲棼之] ~ 치생입막[郗生入幕] ~ 치소[緇素] 2650
4507 사일[社日] ~ 사일[射日] ~ 사일포우육[死日飽牛肉] 2652
4506 욕소필연[欲燒筆硯] ~ 욕일[浴日] ~ 욕전[浴殿] 2653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