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훤[萱] ~ 훤훤[嚾嚾]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929  
♞훤[萱] 망우초(忘憂草). 원추리는 본디 모친이 거처하는 북당(北堂) 앞 뜰에 심는 것이므로, 모친 건강을 상징한 말이다.
♞훤당[萱堂] 살아 계신 남의 어머니를 일컬음. 옛날에 어머니는 북당(北堂)에 거처하는데 그 뜰에 원추리[萱]를 심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시경(詩經) 위풍(衛風) 백혜(伯兮)에 “어찌 원추리를 얻어서 북당[背]에 심어볼까.[焉得諼草 言樹之背]”라 하였는데, 훤(諼)은 바로 훤(萱) 자와 같다. 그 전(傳)에 배(背)를 북당(北堂)이라 일컬었으므로 세속에서 모친을 ‘북당’이라고도 칭한다.
♞훤배[萱背] 훤배는 시경(詩經) 위풍(衛風) 백혜(伯兮)의 “망우초(忘憂草) 좀 얻어서 북쪽 뒤꼍에 심었으면. 떠난 사람 생각에 내 마음만 병드누나.[焉得萱草 言樹之背 願言思伯 使我心痗]”라는 구절에서 나온 것으로, 북당(北堂)이 주부의 거실이라는 점과 연결되어 모친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악부(樂府)의 청상곡(淸商曲) 가운데 ‘오야제(烏夜啼)’라는 금곡(琴曲)이 있는데, 하안(何晏)이 옥(獄)에 갇혔을 때 그의 딸이 밤중에 까마귀 소리를 듣고서 지었다고 한다.
♞훤불조[萱不彫] 어머니의 계신 곳을 훤당(萱堂)이라 하는데 시경(詩經)에서 나온 말이다.
♞훤초[萱草] 원추리. 사람의 근심 걱정을 잊게 해 준다는 풀 이름으로, 망우초(忘憂草)라고도 한다. 옛날에 어머니는 북당(北堂)에 거처하는데 그 뜰에는 원추리를 심었으므로, 전하여 남의 모친을 훤당(萱堂)이라고 부른 데서 온 말이다.
♞훤초원[萱草怨] 훤초(萱草)는 사람의 시름을 잊게 한다는 애완초(愛玩草)인데, 사람이 이미 세상의 번뇌를 해탈한 때문에 훤초도 필요치 않다는 뜻이다.
♞훤총대영춘[萱叢對靈椿] 어머니를 훤당(萱堂)이라 하고 아버지를 춘부(椿府)라 한다.
♞훤훤[嚾嚾] 떠들썩한 모양.
 
 



번호 제     목 조회
737 훼복[卉服] ~ 훼포[卉袍] 3649
736 훤[萱] ~ 훤훤[嚾嚾] 3930
735 훈탁[暈柝] ~ 훌훌[欻欻] 3438
734 훈유[薰蕕] ~ 훈지[壎之] 3775
733 훈가[勳家] ~ 훈성[暈腥] 3392
732 후파[侯芭] ~ 후후[姁姁] 3376
731 후천[後天] ~ 후토[后土] 3206
730 후직[后稷] 3179
729 후장[堠墻] ~ 후종[候鍾] 4405
728 후안무치[厚顔無恥] ~ 후원년[後元年] 3139
727 후승[後乘] ~ 후실유선성[後實逾先聲] 3314
726 후생[侯生] ~ 후설[喉舌] 3252



   381  382  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