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탈태【奪胎】도가(道家)의 말로는 범인(凡人)을 바꿔 선인(仙人)을 만드는 것이나, 문학의 말로는 문장에는 옛 사람의 일언일구도 도습(蹈襲)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환골탈태 등의 법이 있다 한다.

탈태【奪胎】탈태환골(奪胎換骨)의 준말임, 냉재시화(冷齋詩話)에, “황산곡(黃山谷)은 ‘시(詩)의 뜻이 무궁한데, 그 뜻을 바꾸지 아니하고 그 말을 만드는 것을 환골법(換骨法)이라 이르고, 그 뜻을 엿보고 들어가서 형용하는 것을 탈태법(奪胎法)이라 한다.’ 했다.” 하였음. 지금은 의방(依倣)을 잘하는 자를 비유하는 용어로 쓰여짐.

탈태환골【奪胎換骨】뼈대를 바꿔 끼고 태(胎)를 바꿔 쓴다는 뜻으로, 옛 사람이 지은 시문의 취지를 취하여 어구(語句)나 결구(結構)만을 바꾸는 것.

탈토지세【脫兎之勢】토끼가 울에서 뛰어나오듯 신속한 기세를 말한다.

탈포【奪袍】당(唐)의 측천무후(則天武后)가 용문(龍門)에서 놀 때, 군신(群臣)에게, 시(詩)를 먼저 지은 사람에게 금포(錦袍)를 상(賞)으로 주겠다고 하였다. 이에 동방규(東方虯)가 맨 먼저 금포를 차지하였는데, 바로 뒤를 이은 송지문(宋之問)의 시가 더욱 아름다우므로 그 금포를 빼앗아 송지문에게 주었다고 한다. 《隋唐嘉話》

탈포【奪袍】탈포는 비단옷을 빼앗는다는 뜻이다. 시를 잘 지어 남의 영예를 빼앗는다는 비유. 당서(唐書) 송지문전(宋之問傳)에 “무후(武后)가 낙남(洛南) 용문(龍門)에서 놀 적에 종신(從臣)들에게 명령하여 시를 짓도록 하였다. 얼마 후 좌사(左史) 동방규(東方虯)가 먼저 시를 짓자 무후가 금포(錦袍)를 하사하였는데, 조금 뒤에 바친 지문의 시가 더 좋자 무후가 보고서 다시 금포를 빼앗아 하사하였다.” 했다.

탐관오리【貪官汚吏】탐욕이 많고 마음이 깨끗하지 못한 관리.

탐낭【探囊】주머니를 더듬는 도둑을 말함. 《莊子 胠篋》

탐득려룡【探得驪龍】검은 용의 턱밑을 더듬어서 구슬을 획득한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탐시사【耽詩謝】남조(南朝) 송(宋) 나라의 사영운(謝靈運)을 말함. 사현(謝玄)의 손자로 강락공(康樂公)에 봉해졌는데 많은 서적을 두루 읽고 서화에 능하였으며, 특히 시를 잘 지어 그 명성이 도연명과 어깨를 나란히 하였다. 소제(少帝) 때에는 영가태수(永嘉太守)로 있으면서 직무는 아랑곳하지 않고 경내의 산천을 돌아다니며 보고 느끼는 대로 시를 지어 산수시인(山水詩人)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宋書 卷六十七 謝靈運傳》

탐위【貪餧】먹을 것을 찾다.

탐천【貪泉】사람이 그 물을 마시면 갑자기 탐욕(貪慾)이 생긴다는 샘 이름이다. 중국 광동성(廣東省) 남해현(南海縣)에 있는데, 전설에 “이 물을 마시면 탐욕의 마음이 생긴다.” 한다. 진(晉) 나라 사람 오은지(吳隱之)는 이 물을 마시면서 끝내 청렴한 절개를 고치지 않을 것을 맹세했다 한다. 《晉書 吳隱之傳》

탐천지공【貪天之功】탐천지공은, 임금의 성덕으로 이루어진 공을 자기 공으로 삼는다는 뜻임. 좌전(左傳)에, “貪天之功 以爲己力乎”라는 것이 보임.

탐풍가송【探風歌頌】주(周) 나라 때 왕이 백성의 가요를 채집해서 풍속과 정치를 살핀 일이 있음. 《詩經 國風》

 

05/10/15/20/25/3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