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학포번【學圃樊】번지(樊遲)는 공자의 제자로 일찍이 공자에게 벼를 심는 방법과 채전[圃]을 가꾸는 방법을 물은 적이 있다. 《論語 子路》

학포소인수【學圃小人須】수(須)는 공자(孔子)의 제자 번지(樊遲)의 이름. 논어(論語) 자로(子路)에 “번지가 농사를 배우려 하자, 공자가 소인이로구나 번수여, 예(禮)와 의(義)와 신(信)을 좋아하면 사방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는 이가 없을 텐데 왜 농사를 짓고 싶어하느냐.” 하였다.

학하소지여【學何所至與】배움이 어느 곳에 이르렀는가?

학학【嗀嗀】구역질하는 모양, 토하는 소리

학학【嗃嗃】엄하고 매우 심한 모양

학해【學海】학해는 학문의 바다로, 학문의 길이 바다처럼 가없음을 말한다.

학화웅담【學和熊膽】당(唐) 나라 때 유중영(柳仲郢)이 어려서 공부할 적에 그의 모친 한씨(韓氏)가 일찍이 약(藥)에다 웅담을 섞어 조제하여 중영에게 먹여서 건강을 돌봐주었던 데서 온 말이다. 《唐書 柳仲郢傳》

한가【漢歌】한가(漢歌)는 오랑캐를 쫓았으니 한(漢) 나라 노래 부르는 소리만이 있다는 것이다.

한가용비사수활【漢家龍飛泗水闊】한 고조(漢高祖) 유방(劉邦)이 상정장(上亭長)으로 몸을 일으켰다.

한각반렴산【閑却半簾山】문을 닫고 산을 보지 않는다는 뜻이다.

한간【韓幹】한간은 당 현종(唐玄宗) 때의 이름난 화가(畫家)로서 특히 인물(人物)과 안마(鞍馬)의 그림에 뛰어났다고 한다. 처음에는 조패(曹霸)를 사사(師事)하였으나 뒤에 스스로 일가(一家)를 이루어 독보적 존재가 되었으며, 옥화총(玉花驄)ㆍ조야백(照夜白) 등의 말 그림이 특히 유명하다. 《尙友錄》

한간마도【韓幹馬圖】한간은 당 나라 남전(藍田) 사람인데 당서(唐書) 명화기(名畫記)에는 대량(大梁) 사람으로 되어 있다. 현종(玄宗)이 큰 말을 좋아하여 어구(御廏)에는 사십만 필이나 되었는데 그 중 준마(駿馬)를 한간이 모두 그렸는데 고금의 독보가 되었음. 소식의 한간마십사필시(韓幹馬十四匹詩)가 있음.

한강백【韓康伯】진(晉)의 한백(韓伯). 강백(康伯)은 그의 자임. 그는 집이 몹시 가난하였는데, 추운 겨울에 자기 어머니가 저고리를 만들어주면서 빨리 다림질을 하라고 하고, 계속하여 바지를 만들려고 하자, 강백은 자기 어머니에게 그만둘 것을 요청하였다. 그 어머니가 까닭을 물으니 강백이 대답하기를, “이 다리미 속에 불이 있으니까 다리미자루까지 따뜻합니다. 마찬가지로 지금 위에다 따뜻한 저고리를 입었으니 그 따뜻함이 점차 아래까지 내려올 것 아니겠습니까.” 하여 그 어머니는 강백을 특이하게 여겼다고 한다. 《晉書 韓伯傳》

한강투석【漢江投石】한강에 돌 던지기. 지나치게 미미(微微)하여 전혀 효과가 없음을 비유하는 말.

한개광명원【漢改廣明園】한 선제(漢宣帝)가 생부(生父)인 사황손(史皇孫)의 무덤을 개장(改葬)한 것을 말한다. 무덤의 이름은 원래 도원(悼園)인데 광명(廣明)의 성곽 북쪽에 위치하였으므로 광명원이라고 가칭한 것이다. 《漢書 卷63》

 

10/20/30/40/50/60/70/80/90/100/10/20/30/40/50/6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