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미식[迷息] ~ 미악시서화[米嶽詩書畫] ~ 미앙접장문[未央接長門]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73  

미식[迷息] 자신의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미식세성[未識歲星] 한 무제(漢武帝)의 시신(侍臣)인 동방삭(東方朔)이 죽은 뒤에, 그 동안 18년간 보이지 않던 세성(歲星)이 비로소 하늘에 보이자, 무제가 내 옆에 있던 동방삭이 세성인 줄을 지금까지도 몰랐구나.”라고 탄식했다는 설화가 한 나라 곽헌(郭憲)의 동방삭전(東方朔傳)에 전한다.

미실가자은정용[美實可資殷鼎用] 매화의 열매를 말한다. 서경(書經) 열명(說命)솥에다 국을 끓이게 된다면 그대는 소금과 매실 같은 구실을 하라[若作和羹 爾惟鹽梅]”는 말이 있는데, 이는 은()의 고종(高宗)이 부열(傅說)에게 한 말이므로 은 나라 솥이라 한 것이다.

미아[迷兒] 자신의 아들을 일컫는 말이다.

미악시서화[米嶽詩書畫] 미악은 송() 나라 때의 명필 미불(米芾)을 가리킨다. 그의 호 중에 해악외사(海嶽外史)라는 호가 있다. 미불은 시··화에 모두 뛰어났다. <宋史 卷四百四十四>

미앙[未央] 미앙궁(未央宮)은 한() 나라 궁궐의 정전(正殿)이다.

미앙궁[未央宮] 한 나라 고조(高祖) 때 지은 궁전으로, 조현(朝見)을 하던 곳이다.

미앙궁[未央宮] 후비(后妃)가 거처하는 궁전이다.

미앙접장문[未央接長門] 왕과 후궁과의 사이가 밀접해졌다는 말이다. 미앙(未央)과 장문(長門)은 다 한대(漢代)의 궁전 이름인데, 미앙궁은 황제가, 장문궁은 황후가 기거하는 곳이다. 두 궁 사이에 길이 트여 왕래가 잦고 또 숙원(淑媛)이라는 관칭(官稱)까지 내려질 만큼 임금으로부터 대단한 총애를 받는다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4493 민고완심육[民苦剜心肉] ~ 민공[旻公] ~ 민락[閩洛] 2671
4492 용무[龍武] ~ 용문[龍門] 2672
4491 묘묘[杳杳] ~ 묘수[昴宿] ~ 묘수좌[猫首座] 2673
4490 미루[迷樓] ~ 미륵사[彌勒寺] ~ 미명왕한유[彌明枉韓愈] 2673
4489 채옹초미금[蔡邕焦尾琴] ~ 채원정[蔡元定] ~ 채의환[彩衣歡] 2673
4488 미식[迷息] ~ 미악시서화[米嶽詩書畫] ~ 미앙접장문[未央接長門] 2674
4487 여우렴[呂友濂] ~ 여원[戾園] ~ 여원분서장벽실[慮遠焚書藏壁室] 2675
4486 문천[問喘] ~ 문천몽[捫天夢] ~ 문첩서초명[蚊睫棲焦螟] 2676
4485 참수[饞守] ~ 참승초종[驂乘初終] ~ 참인투유호[讒人投有昊] 2677
4484 배사[杯蛇] ~ 배사오[杯蛇誤] ~ 배성[拜星] 2684
4483 신낭전[腎囊錢] ~ 신내폐외[愼內閉外] ~ 신누일과홍수평[神累一過洪水平] 2684
4482 용종[龍種] ~ 용주금람[龍舟錦纜] ~ 용즉행사즉장[用則行捨則藏] 268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