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참수[饞守] ~ 참승초종[驂乘初終] ~ 참인투유호[讒人投有昊]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75  

참석[鑱石] 돌로 만든 침이다.

참수[饞守] 문동(文同)의 시에 料得淸貧饞太守 渭川千畝在胸中이 있다.

참승[參乘] 참승(驂乘)이라고도 한다. 고대에 네 마리의 말이 끄는 수레를 타고 다닐 때 그 중앙에는 말을 모는 어자(御者), 어자의 오른 쪽에는 심부름하는 시종이나 호위를 하는 사람이 타고 왼쪽에는 주인이나 장군이 탔다. 병거의 경우는 차우(車右)라 했고 수레의 경우는 참승이라 했다.

참승[驂乘] 참승은 임금의 수레에 모시고 타는 것을 말한다.

참승초종[驂乘初終] 하후 영(夏侯嬰)이 한 패공(漢沛公)의 태복(太僕)으로 늘 봉거(奉車)하였기 때문에 일컬어진 말이다. <漢書 卷四十一 樊酈滕灌傳>

참어등[饞魚燈] 참어등은 물고기의 기름을 달여서 그것을 등유(燈油)로 사용하여 켜는 것을 말한다. <開元天寶遺事>

참연[槧鉛] 인쇄한 서적을 말한다.

참연[饞涎] 참연은 식욕(食欲)으로 침을 흘림을 말한다.

참인투유호[讒人投有昊] () 나라 때 현인(賢人)을 참소하는 자들을 원망하여 부른 노래에 저 참소하는 자를 잡아다가, 승냥이나 호랑이에게 던져 주리. 짐승들도 더럽다 안 먹거든, 머나먼 북극에 던져 주리. 북극에서도 더럽다 안 받거든, 하느님께나 던져 주리[取彼讒人 投畀豺虎 豺虎不食 投畀有北 有北不受 投畀有昊].”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詩經 小雅 巷伯>

 

 



번호 제     목 조회
4493 완화일[浣花日] ~ 완화자분[玩火自焚] ~ 완화촌[浣花村] 2670
4492 용무[龍武] ~ 용문[龍門] 2671
4491 미식[迷息] ~ 미악시서화[米嶽詩書畫] ~ 미앙접장문[未央接長門] 2672
4490 채옹초미금[蔡邕焦尾琴] ~ 채원정[蔡元定] ~ 채의환[彩衣歡] 2672
4489 묘묘[杳杳] ~ 묘수[昴宿] ~ 묘수좌[猫首座] 2673
4488 미루[迷樓] ~ 미륵사[彌勒寺] ~ 미명왕한유[彌明枉韓愈] 2673
4487 여우렴[呂友濂] ~ 여원[戾園] ~ 여원분서장벽실[慮遠焚書藏壁室] 2675
4486 문천[問喘] ~ 문천몽[捫天夢] ~ 문첩서초명[蚊睫棲焦螟] 2676
4485 참수[饞守] ~ 참승초종[驂乘初終] ~ 참인투유호[讒人投有昊] 2676
4484 배사[杯蛇] ~ 배사오[杯蛇誤] ~ 배성[拜星] 2683
4483 본각[本覺] ~ 본초경[本草經] ~ 봉가[鳳歌] 2684
4482 신낭전[腎囊錢] ~ 신내폐외[愼內閉外] ~ 신누일과홍수평[神累一過洪水平] 2684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