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삼회곡구방천앵[三回谷口放遷鶯] ~ 삼휴[三休] ~ 삼희[三希]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614  

삼회곡구방천앵[三回谷口放遷鶯] 세 번 과거의 시관(試官)으로 급제자들을 뽑았음을 뜻한다.

삼후[三嗅] 두보의 시 추우탄(秋雨歎)’당상의 서생 괜히 머리만 세었기에, 바람 따라 몇 번이고 향내 맡고 우누나[堂上書生空白頭 臨風三嗅馨香泣]”라고 하였다

삼훈욕[三薰浴] 향초를 넣어 끓인 물에 머리를 감고 또 몸에 향수를 수차 발라서 몸을 맑게 하는 것을 가리킨다.

삼휴[三休] 사람이 휴식하여야 할 세 가지 조건. 삼휴는 당() 나라 시인 사공도(司空圖) 호로, 만년에 중조산(中條山) 왕관곡(王官谷)에 정자를 짓고 이를 삼휴정(三休亭)이라 이름하고 은거했던 데서 온 말이다. 즉 재능을 헤아린 결과[量才] 이것이 첫번째 휴식해야 할 조건이요, 분수를 헤아린 결과[揣分] 이것이 두 번째 휴식해야 할 조건이며, 늙어서 귀가 어두운 것[耄聵]이 세 번째 휴식해야 할 조건이라고 하였다. <唐書 卓行傳>

삼휴[三休] 세 번 휴식한다는 말이다. 하손칠소(何遜七召)걷다가 세 번 휴식하니 반도 못 되고 길은 중간에서 자면서 바야흐로 희미해졌네.”라고 하였는데, 여기서는 도학의 길이 쉽지 않으니 쉬어가면서 차분히 간다는 뜻이다.

삼희[三希] 성인은 하늘같이 되기를 바라고[聖希天], 현인은 성인같이 되기를 바라고[賢希聖], 선비는 현인이 되기를 바라는 것[士希賢]을 세 가지 바람이라고 한다. <通書 志學>

 

 



번호 제     목 조회
4541 창화[菖花] ~ 채각관[豸角冠] ~ 채군모[蔡君謨] 2612
4540 삼회곡구방천앵[三回谷口放遷鶯] ~ 삼휴[三休] ~ 삼희[三希] 2615
4539 요지원심목[腰肢怨心目] ~ 요지유[繞指柔] ~ 요첩[瑤牒] 2616
4538 체동[螮蝀] ~ 체두시[杕杜詩] ~ 체악영[棣萼榮] 2616
4537 승복잔고[賸馥殘膏] ~ 승부옹[乘桴翁] ~ 승부창해중[乘桴滄海中] 2617
4536 문점[文點] ~ 문정홀[文貞笏] ~ 문제하빈[問諸河濱] 2617
4535 외가[外價] ~ 외간서[畏簡書] ~ 외광[畏匡] 2617
4534 비관[鼻觀] ~ 비관혁[非貫革] ~ 비광[斐狂] 2619
4533 동어[銅魚] ~ 동엽봉제[桐葉封弟] ~ 동영[東瀛] 2620
4532 백련[白蓮] ~ 백련사[白蓮社] 2620
4531 서곤[西崑] ~ 서공부[舒公賦] ~ 서군[書裙] 2620
4530 수병[守甁] ~수복진성야리행[繡服眞成夜裏行]~ 수부사군[繡斧使君] 2621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