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은졸[隱卒] ~ 은죽[銀竹] ~ 은지작탐천[隱之酌貪泉]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2,752  

은졸[隱卒] 원래는 죽음을 애도한다는 말이었으나 시호(諡號)라는 뜻으로 어의(語義)가 전성되어 사용된다.

은종몽[殷宗夢] 은종(殷宗)은 은()의 고종(高宗) 무정(武丁)을 말한다. 그는 즉위하여 3년 동안 말하지 않고 마음속으로 훌륭한 신하를 구하였는데, 꿈에 나타나므로 초상화를 그려 천하에 구하였다. 이때 부열(傅說)은 천한 신분으로 담 쌓는 일을 하고 있었는데, 얼굴이 초상화와 같았으므로 마침내 발탁되어 훌륭한 정치를 이룩하였다. <書經 說命>

은죽[銀竹] 은죽은 굵은 빗줄기를 표현하는 시어인데, 참고로 이백(李白)의 시에 겨울 산을 비춰 주며 내려오는 하얀 비, 흩뿌리는 그 모습 은빛 대와 흡사하네.[白雨映寒山 森森似銀竹]”라는 구절이 있다. <李太白詩集 卷21 宿鰕湖>

은지[銀地] 불당을 세운 곳으로 불당을 말한다.

은지작탐천[隱之酌貪泉] () 나라 오은지(吳隱之)가 부패 풍조가 만연된 광주 자사(廣州刺史)로 가서, 마실수록 탐욕을 일으키게 된다는 탐천(貪泉)의 샘물을 떠 마시고는, 시를 짓기를 백이 숙제에게 마시게 하면 끝내 마음이 뒤바뀌지 않으리라.[試使夷齊飮 終當不易心]”라 하고 자신의 청렴한 절조를 계속 유지했다는 고사이다. <晉書 良吏 吳隱之傳>

은청[銀靑] 은청은 은인 청수(銀印靑綬)의 준말로 은인장과 푸른 인끈을 뜻한다.

 

 



번호 제     목 조회
4397 응양[鷹揚] ~ 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 ~ 응전[鷹鸇] 3568
4396 응벽지[凝碧池] ~ 응빙초화[凝氷焦火] ~ 응숙[應宿] 2572
4395 응룡[應龍] ~ 응묘개진등암낭[應昴豈盡登巖廊] ~ 응방[應榜] 3285
4394 응거[應璩] ~ 응념원유난[應念遠遊難] ~ 응대여류[應對如流] 2671
4393 음견[吟肩] ~ 음덕양보[陰德陽報] ~ 음묵[飮墨] 3946
4392 을람[乙覽] ~ 을사사[乙巳事] ~ 음갱[陰鏗] 2879
4391 은호[殷瑚] ~ 은화옥척[銀花玉尺] ~ 은후[隱侯] 2749
4390 은토[銀免] ~ 은필[銀筆] ~ 은해[銀海] 3170
4389 은졸[隱卒] ~ 은죽[銀竹] ~ 은지작탐천[隱之酌貪泉] 2753
4388 은전[銀錢] ~ 은정조갱[殷鼎調羹] ~ 은정화염[殷鼎和塩] 2548
4387 은영연[恩榮宴] ~ 은왕[殷王] ~ 은일[隱逸] 3097
4386 은실요림우[殷室饒霖雨] ~ 은어대[銀魚帶] ~ 은어학사괘관초[銀魚學士挂冠初] 2883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