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응양[鷹揚] ~ 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 ~ 응전[鷹鸇]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567  

응양[鷹揚] 강태공(姜太公)이 주무왕(周武王)을 도와서 은() 나라의 목야(牧野)를 칠 때 80 노인으로서 매처럼 기운차게 날뛰었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대명(大明), 주 무왕(周武王)을 도와 은() 나라를 멸망시킨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의 공을 찬미하면서 태사인 태공망이 마치 매가 날 듯, 무왕을 도우시어 은 나라를 정벌하니, 회전(會戰)하는 그 아침은 맑고 밝았네.[維師尙父 時維鷹揚 涼彼武王 肆伐大商 會朝淸明]”라는 말이 나온다.

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 위수(渭水)에 낚시를 드리우고 문왕(文王)을 기다렸다가 뒤에 무왕(武王)을 도와 은()을 정복하고 주() 나라를 세우는 데 큰 공헌을 한 강태공(姜太公)을 이른다.

응유[應劉] 응유는 삼국(三國) 시대 위()의 왕찬(王粲공융(孔融진림(陳琳완우(阮瑀서간(徐幹)과 함께 건안칠자(建安七子)였던 응창(應瑒)과 유정(劉楨)을 말하는데, 위 문제(魏文帝)가 태자(太子)로 있을 적에 이들을 총애하여 항상 동궁에 불러 놓고 주연(酒宴)을 베풀고 즐겼다 한다.

응전[鷹鸇] 응전(鷹鸇)은 모두 매의 종류로 군주에게 무례하거나 부모에게 불효하는 자를 보면 매가 새들을 쫓듯이 몰아냄을 뜻한다. 후한(後漢) 때에 구람(仇覽)은 자를 계지(季智), 일명 향()이라고 하였는데, 포정(蒲亭)의 장()으로 있으면서 홀어머니에게 불효하는 진원(陳元)이라는 자를 형벌로 다스리지 않고 말로 타일러 교화시켰다. 이에 사람들이 응전의 뜻이 적은 것이 아니냐?”고 묻자 나는 매가 봉황만 못하다고 여기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이다.”라고 대답하였다. <後漢書 卷七十六 循吏 仇覽傳>

 

 



번호 제     목 조회
4397 응양[鷹揚] ~ 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 ~ 응전[鷹鸇] 3568
4396 응벽지[凝碧池] ~ 응빙초화[凝氷焦火] ~ 응숙[應宿] 2571
4395 응룡[應龍] ~ 응묘개진등암낭[應昴豈盡登巖廊] ~ 응방[應榜] 3284
4394 응거[應璩] ~ 응념원유난[應念遠遊難] ~ 응대여류[應對如流] 2670
4393 음견[吟肩] ~ 음덕양보[陰德陽報] ~ 음묵[飮墨] 3946
4392 을람[乙覽] ~ 을사사[乙巳事] ~ 음갱[陰鏗] 2879
4391 은호[殷瑚] ~ 은화옥척[銀花玉尺] ~ 은후[隱侯] 2747
4390 은토[銀免] ~ 은필[銀筆] ~ 은해[銀海] 3169
4389 은졸[隱卒] ~ 은죽[銀竹] ~ 은지작탐천[隱之酌貪泉] 2751
4388 은전[銀錢] ~ 은정조갱[殷鼎調羹] ~ 은정화염[殷鼎和塩] 2547
4387 은영연[恩榮宴] ~ 은왕[殷王] ~ 은일[隱逸] 3095
4386 은실요림우[殷室饒霖雨] ~ 은어대[銀魚帶] ~ 은어학사괘관초[銀魚學士挂冠初] 2882



   71  72  73  74  75  76  77  78  79  8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