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임시방편[臨時方便] ~ 임심리박[臨深履薄] ~ 임오시[林烏詩]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4,247  

임시방편[臨時方便] 때에 임하여 쓰는 방법과 수단. 그때 그때의 형편에 따라서 일을 처리하는 수단이나 방법.

임시변통[臨時變通] 그때 그때의 상황의 변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일을 처리함.

임심리박[臨深履薄] 깊은 못가에 임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 모든 일에 조심함을 말한다. <詩經 小雅 小旻>

임안[臨安] 현재의 절강성(浙江省) 항주시(杭州市)로 오계(五季) 때 오월왕(吳越王) 전류(錢鏐)가 이곳에 도읍을 세웠으며 송()의 문장가 소식(蘇軾)이 이곳에 오래 있었다.

임약[荏弱] 연약하다.

임여후[臨汝侯] 관영의 손자 관현(灌賢)의 봉호다.

임영[臨瀛] 강릉(江陵)의 고호(古號)이다.

임예[臨睨] 엿보다.

임오구[林烏句] 박장원은 노모(老母)에 대한 효성으로 이미 사람들의 칭찬을 받고 있었는데, 월과(月課)포오시(哺烏詩)’를 지어 올리면서 선비가 어버이를 집안에 모시고도, 가난해서 맛있는 음식 마련도 못하누나. 미물인 저 새도 사람을 감동시키나니, 반포(反哺)하는 숲 까마귀 눈물을 흘리게 하는구나.[士有親在堂 貧無甘旨具 微禽亦動人 淚落林烏哺]”라고 하자, 인조(仁祖)가 이 시를 보고는 한집안의 충효 정신이 사람을 감탄하게 한다. 해조로 하여금 미곡과 포목을 넉넉히 주도록 하라.[一家忠孝 令人感歎 其令該曹優給米布]”고 분부하였다는 기록이, 윤증(尹拯)이 지은 비문(碑文)에 실려 있다.

임오시[林烏詩] 박장원(朴長遠)이 병자호란이 일어나던 해에 대과(大科)에 급제한 뒤, 외조부인 충렬공(忠烈公) 심현()을 따라 강도(江都)에 들어갔다가, 외조부모의 뒤를 따라 함께 순절(殉節)하려고 하다가 모친을 봉양하라는 외조부의 말을 듣고서 모친을 모시고 나온 뒤, 극진하게 봉양을 하였는데, 인조 18(1640)에 포오(哺烏)라는 제목의 월과시(月課詩)를 지으면서 선비가 어버이를 집에서 모시면서, 가난하여 맛있는 반찬 드리지도 못하누나. 미물인 저 새도 사람을 감동시키나니, 반포(反哺)하는 숲 까마귀 눈물을 흘리게 만드누나.[士有親在堂 貧無甘旨具 微禽亦動人 淚落林烏哺]”라고 하자, 인조가 읽어 보고는 한집안의 충효(忠孝)가 사람을 감탄케 한다.” 하고, 미포(米布)를 넉넉히 지급하게 한 고사가 있다.

임오포[林烏哺] 어버이를 봉양하는 자식의 효성을 말한다. 까마귀가 자라서는 어미를 먹여 주며 은혜를 갚는다고 한다. <初學記 卷30 >

 

 



번호 제     목 조회
4553 임참여간괴[林慚與澗愧] ~ 임천랍극[臨川蠟屐] ~ 임천성탄[臨川聖歎] 5269
4552 임종건[林宗巾] ~ 임중불매신[林中不賣薪] ~ 임지[臨池] 4011
4551 임우[霖雨] ~ 임원육실[臨沅六實] ~ 임제[臨濟] 4473
4550 임시방편[臨時方便] ~ 임심리박[臨深履薄] ~ 임오시[林烏詩] 4248
4549 임사흥주[妊姒興周] ~ 임서하[林西河] ~ 임순[紝紃] 3990
4548 임방[林放] ~ 임방애객[任昉愛客] ~ 임비[任鄙] 5605
4547 임도상봉여마동[臨渡常逢呂馬童] ~ 임령곡[霖鈴曲] ~ 임률공[林栗攻] 4386
4546 임농탈경[臨農奪耕] ~ 임당[任棠] ~ 임당권휼고[任棠勸恤孤] 3715
4545 임공신과부[臨邛新寡婦] ~ 임공육오[任公六鰲] ~ 임공조[任公釣] 3265
4544 임강왕[臨江王] ~ 임공[臨邛] ~ 임공개[任公犗] 3804
4543 일흡서강[一吸西江] ~ 임간칠일[林間七逸] ~ 임갈굴정[臨渴掘井] 4713
4542 일현담[一現曇] ~ 일환니[一丸泥] ~ 일훈일유[一薰一유] 2547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