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목로비[牧老碑] ~ 목민지관[牧民之官]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252  
♞목로비[牧老碑]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나옹을 위하여 쓴 비이다.
♞목로사규재[牧老師圭齋] 목은(牧隱) 이색(李穡)이 소시(少時)에 원 나라에 들어가서 제과(制科)에 응시했는데, 이때에 시관(試官)으로 있던 규재(圭齋) 구양현(歐陽玄)이 목은의 글을 보고 “이제는 의발(衣鉢)을 동국(東國)에 전하게 되었다.”하면서 높이 칭찬하고 장원(壯元)으로 합격시켰다. 이러한 두 사람의 관계를 말하는데, 고려 때에는 당시 시관과 급제자 사이에는 사제(師弟)의 분의(分誼)가 있었다.
♞목릉[穆陵] 경기도 양주(楊州)에 있는 동구릉(東九陵)의 하나로, 선조(宣祖)와 그 왕후의 능이다.
♞목리[木李] 오얏. 시경(詩經) 모과(木瓜)에 “나에게 모과를 던져주기에 아름다운 옥으로 보답합니다.” 하였다.
♞목만어팔준[穆滿馭八駿] 목만은 주 목왕(周穆王)을 말한 것이다. 사요취선(史要聚選) 제왕(帝王)에 “목왕의 이름은 만(滿)이요 소왕(昭王)의 아들인데, 팔준마(八駿馬)를 타고 온 천하를 주류했으며 도룡주(屠龍州)에서 말을 물 먹였다.”하였다.
♞목매[木魅] 숲 속의 요괴(妖怪)로, 고목이 변해서 된다는 속설이 전한다.
♞목목[穆穆] 조용한 모양, 심원(深遠)한 모양. 천자(天子)의 용모와 거둥을 말한다. 시경(詩經)에 목목문왕(穆穆文王)이란 구절이 있다.
♞목민지관[牧民之官] 백성을 기르는 벼슬아치라는 뜻으로 고을, 원등 외직 문관(外職文官)을 통칭하는 말이다.
 
 



번호 제     목 조회
569 몰골화법[沒骨畫法] ~ 몰시[沒矢] 4567
568 목필화[木筆花] ~ 목후이관[沐猴而冠] 5067
567 목탁[木鐸] ~ 목탕경[睦湯卿] 3791
566 목적[木賊] ~ 목청[穆淸] 3155
565 목작약[木芍藥] ~ 목저노[牧猪奴] 3444
564 목우경[睦禹卿] ~ 목인석심[木人石心] 3611
563 목어[木魚] ~ 목와[木瓦] 3171
562 목앵부[木罌艀] ~ 목야호[木野狐] 3720
561 목식이시[目食耳視] ~ 목안간[木雁間] 3623
560 목서[木犀] ~ 목숙반[苜蓿盤] 3936
559 목배[木杯] ~ 목생[穆生] 4176
558 목로비[牧老碑] ~ 목민지관[牧民之官] 3253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