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옛글닷컴ː명언명구/사전

하늘구경  

 

 

 

 

몽【蒙】뒤집어 쓰다.

몽【夢】합려(闔廬)의 아버지인 수몽(壽夢).

몽가한【蒙哥汗】원(元) 나라 헌종(憲宗)의 이름임.

몽각량빈숙【夢覺粱頻熟】한바탕의 헛꿈을 자주 꾸었다는 뜻이다. 당(唐) 나라 때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회화나무 아래에서 잠을 잤는데, 꿈에 대괴안국(大槐安國)의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면서 20년 동안이나 부귀영화를 누리다가 깨어나서 보니, 남가군은 바로 회화나무 남쪽 가지 아래에 있던 개미굴이었다고 한다.

몽견재유진【夢見才猶進】육조시대 강문통(江文通)의 고사. 문통은 하룻밤 꿈에 신인(神人)이 나타나 오색 붓을 주기에 받았는데 그 후부터 문장이 날로 새로워졌다 한다.

몽관【夢關】대학(大學)에 성의정심(誠意正心)이란 말이 있는데, 송 나라의 유학자들이 성의를 몽교관(夢覺關), 인귀관(人鬼關)이라 하여 선악의 분기점이라는 말로 썼다.

몽대괴【夢大槐】당나라 소설 남가기(南柯記)에서 나온 말인데, 낮잠을 자다가 꾼 꿈에, 대괴국(大槐國)에 가서 남가태수(南柯太守)로 영화를 누리다가 깨어서 살펴본즉, 뜰 앞에 있는 큰 괴목(槐木)이 대괴국이었고, 남가군(南柯郡)은 그 괴목의 남쪽 가지였다.

몽도【夢刀】진(晉) 나라 왕준(王濬)이 칼 세 개가 서까래에 걸려 있는 꿈을 꾸고 다시 칼 하나가 더해지는 꿈을 꾸었는데, 삼도(三刀)는 주(州)를 뜻하고 더해진 것은 익(益)을 의미한다는 해몽대로 익주 자사(益州刺史)에 부임했던 고사가 있다. 《晉書 王濬傳》

몽뢰【夢賚】나만갑(羅萬甲)의 자(字)이다.

몽매난망【夢寐難忘】꿈에도 그리워 잊기가 어려움.

몽매지간【夢寐之間】자는 동안, 꿈을 꾸는 동안. 즉, 자나깨나.

몽몽【夢夢】멀어서 똑똑하지 않은 모양, 어지러워진 모양.

몽몽【幪幪】무성한 모양.

몽몽【朦朦】어슴푸레한 모양, 하늘이 흐려 비가 내릴 듯한 모양, 혼돈하여 구별과 질서가 없는 모양, 정신이 흐려 멍한 모양.

몽몽【蒙蒙】햇빛이 밝지 않음. 어둑어둑.

몽몽【懞懞】흐릿한 모양, 무지한 모양, 부끄러워하는 모양.

몽사【蒙汜】몽수(蒙叟). 장자(莊子)의 딴 이름. 몽(蒙)은 장자의 출생지, 수(叟)는 장로(長老). 汜()는 물가. 끝.

몽사【濛汜】해가 넘어가는 곳. 장형(張衡)의 서경부(西京賦)에 “해가 부상(扶桑)에서 떠올라 몽사로 넘어간다.” 하였다.

몽산【蒙山】나라이름. 

몽산【蒙山】중국 사천성(四川省)에 있는 명산(名山). 차의 소산지(所産地)로서 그 차는 독특한 향기가 있어 상청봉(上靑峯)에서 소산되는 차를 몽정다(蒙頂茶)라고 한다. 《太平寰宇記》

몽송공가【矇誦工歌】옛날에 장님은 임금 앞에서 규잠(規箴)이 되는 말을 외고, 악관(樂官)은 임금 앞에서 시(詩)를 외어 임금을 간(諫)했던 일을 이른 말이다.

몽수몽호【蒙叟夢蝴】몽수(蒙叟)는 장자(莊子)를 말함. 장주(莊周)가 꿈에 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녔다고 함. 《莊子 齊物論》

몽수북해곤【蒙叟北海鯤】몽수는 장자(莊子)를 가리킨다. 장자(莊子) 소요유(逍遙遊)에, “북쪽 바다에 고기가 있는데, 그 이름을 곤(鯤)이라고 한다. 곤의 크기는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가 없다. 이것이 변하여 새가 되면 붕(鵬)이 된다. 붕의 등도 길이가 몇 천 리나 되는지 알 수가 없다.” 하였다.

몽수편【蒙叟篇】몽현(蒙縣) 출신인 장주(莊周)가 지은 글, 즉 장자(莊子)를 가리킨다.

 

05/10/15/20/25/30/35/40/45/50/55/60/65/70/75/80/85/9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

 

 

www.yetgle.com

 

 

Copyright (c) 2000 by Ansg All rights reserved

<돌아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