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닷컴ː옛글채집/옛글검색

하늘구경  



 

두어오[蠹魚惡] ~ 두영[竇嬰]
 글쓴이 : 하늘구경
조회 : 3,956  
♞두어오[蠹魚惡] 비파기(琵琶記) 효부제진(孝婦題眞)에 “향초 잎 향기 진동하자, 책 벌레 모두 달아나네.[芸葉分香走魚蠹]”라는 시구가 있다.
♞두엄[竇儼] 송(宋)의 어양(漁陽) 사람이다. 재주가 높고 글을 잘했으며 박학다식하여 당시의 사사(祀事)․악장(樂章)․종묘(宗廟)․시호(諡號)등 제도에 관하여도 많은 것을 찬정(撰定)하여 주위로부터 해박하다는 찬사를 받았다. <宋史 卷二百六十三>
♞두여방[杜與房] 당 태종(唐太宗)을 도와 정관(貞觀)의 치적을 구현하는 데 결정적 공헌을 한 두여회(杜如晦)와 방현령(房玄齡)이다. 방모두단(房謀杜斷)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로 태종조의 쌍벽이었다. <唐書 卷九十六>
♞두연[杜衍] 지금의 하남성 남양시 경내 서남이다.
♞두영[竇嬰] 두태후(竇太后)의 조카로 오초칠국의 란 당시에 대장군에 임명되어 제와 조 두 나라의 군사들에 대항했다. 칠국의 란이 진압되자 위기후(魏其侯)에 봉해졌다. 무제 즉위 초에 승상에 올라 유학을 숭상하고 도학을 배척하여 두태후로부터 미움을 받았다. 이어서 죄를 얻어 목숨을 잃었다.
 
 



번호 제     목 조회
377 마등[摩登] ~ 마란[馬卵] 4245
376 마도[馬圖] ~ 마두[馬竇] 4461
375 마남도[馬南渡] ~ 마니주[摩尼珠] 4439
374 마군공[馬群空] ~ 마귀[麻貴] 3721
373 마골구방인[馬骨九方歅] ~ 마공신[馬功臣] 3818
372 마고[麻姑] ~ 마고소양[麻姑搔痒] 5477
371 마계산[摩笄山] 4151
370 두운[杜韻]/두율천궁[兜率天宮]/두입[斗入] 3771
369 두우륙[杜郵戮] 3816
368 두오랑[杜五郞] ~ 두우혼[杜宇魂] 4177
367 두예[杜預] ~ 두예침비[杜預沈碑] 4607
366 두어오[蠹魚惡] ~ 두영[竇嬰] 3957



   411  412  413  414  415  416  417  418  419  420    
 
 


졸시 / 잡문 / 한시 / 한시채집 / 시조 등 / 법구경 / 벽암록 / 무문관 / 노자 / 장자 /열자

한비자 / 육도삼략 / 소서 / 손자병법 / 전국책 / 설원 / 한서 / 고사성어 / 옛글사전

소창유기 / 격언연벽 / 채근담(명) / 채근담(건) / 명심보감(추) / 명심보감(법) / 옛글채집